제 7절 태인군의 행정구역(行政區域) 변천(變遷) 과정(過程)
<표 2-4> 태인 지역 행정구역의 변천 과정1)
| ||||
시대 구분 |
태 인 |
고 부 |
정 읍 | |
마 한 |
지반국(支半國), 일리국(一離國), 불미국(不彌國) |
|
고비리국(古卑離國) |
초산도비리국 楚山塗卑離國 |
백 제 |
대시산군(大尸山郡) |
빈굴현(賓屈縣)부성현(賦城縣) |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 →고사주(古四州) |
정촌현(井村縣)
|
남북국시대 |
대산군(大山郡) 757(경덕왕 16) |
빈성현(斌城縣)무성현(武城縣) 757(경덕왕 16) |
고부군(古阜郡) 757(경덕왕 16) |
정읍현(井邑縣) 태산군의 영현 757(경덕왕 16) 초산군(楚山郡) |
|
태산현(泰山縣) |
인의현(仁義縣) 영주관찰사의 영현(領縣) 936년(태조 19) |
영주(瀛州) 영주관찰사 939(태조 19)
|
고부군(古阜郡)
|
|
영주관찰사 감무(監務) 설치 936(태조 19) |
대산 감무(監務)로 하여금 겸임 940년(태조 23) |
감무(監務) 설치 936(태조 19) | |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 951(광종 2) | ||||
고 려 |
태산현(泰山縣) 감무(監務) 설치 1019(현종 10) |
감무(監務) 설치 1019(현종 10) |
고부군(古阜郡) 1019(현종 10) |
|
|
|
|
영광군에 일시적 병합 충렬왕代 |
|
|
태산군(泰山郡) 1354(공민왕 3) |
|
고부군(古阜郡)으로 복구 |
|
|
태산군과 인의현의 통합으로 신도시 태인현(泰仁縣)이 생김. 1409(태종 9) |
|
현감 설치 1413(태종 13) | |
조 선 |
1414(태종 13) 현감을 두었다. |
|
현감 파견 1589(선조 22) 초대 현감 이순신 | |
대한제국 |
전주부 태인군(泰仁郡), 1895(고종 32) 전라북도 태인군(泰仁郡), 1896(고종 33) |
전주부, 전라북도고부군(古阜郡) 1895, 6(고종 32, 33) |
정읍군(井邑郡)
1895(고종 32) | |
일제강점기 |
정읍군 태인면(井邑郡 泰仁面) 1914. 3. 1.(府․郡 폐합) |
정읍군(井邑郡) 고부면(古阜面) 1914. 3. 1. (府․郡 폐합) |
정읍군(井邑郡) 1914(3군 통폐합) | |
대한민국 |
|
|
정주읍(井州邑) 1976년 정읍군(井邑郡)정주시(井州市) 1981(정주시 분리) | |
|
|
정읍시(井邑市) 1995(시․군 통합) |
--------------------------------------------------------------------
1) 『全羅北道指定文化財 實測調査報告書 - 泰仁鄕校 萬化樓』 第17號 (전라북도․정읍시, 2012), 65.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12.), 804.
허웅, 『한국 지명 총람』12 (전북편․하) (한글학회, 2003. 2. 5),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