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편 경제사회(삶의 틀) 23

태인 5일장

태인은 호남 제일정인 피향정이 있는 곳으로 70년대까지만 해도 5일 장터로 명성이 있었으나 이후 교통의 발달과 농촌 인구의 감소로 다소 위축되었음. 1997년 장옥을 개축하는 등 환경을 정비하여 주민 편의를 도모하였다. 명칭 : 태인시장 / 종 별 : 정기시장 소재지 :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201-3 - 점 포 수 : 24칸(3동) - 부지면적 : 4,195㎡ - 장옥면적 : 578㎡ 연락처 : 태인시장번영회 (063-534-4350) 주요특산물 : 야채, 의류, 생선, 공산품, 잡화 등 장날 : 매 5. 10. 15. 20. 25. 30일 특징 : 시내중심에 저자거리가 있어 매일아침 새벽 5시~6시 사이 인근의 싱싱한 농산물이 직거래되고 먼동이 트면 장이 파한다 하여 "미니 도깨비 시장"이라고 ..

보(洑)

보(洑) 신중보(新中洑) - 태인면 태창리 낙양보(洛陽洑) - 태인면 낙양리 요강보(鐃杠洑) - 태인면 오봉리 서촌보(西村洑) - 태인면 매계리 연양보(宴陽洑) - 태인면 태서리 여속지(餘粟池) - 태인면 박산리 연당지(蓮塘池) - 태인면 피향정 하연지 금상지(錦箱池) - 태인면 매계리 태서지(泰西池) - 태인면 태서리 청석지(靑石池) - 태인면 오봉리 이암지(耳巖池) - 태인면 박산리 증산지(甑山池) - 태인면 증산리 가지지(加之池) - 태인면 백산리(?) 갈마지(渴馬池) - 태인면 박산리 박동지(朴東池) - 태인면 박산리1) -------------------------------------- 1) 梁昌成...[等編], 『泰仁誌』(1965), 36.

교통과 통신[역체(驛遞)]

교통과 통신[역체(驛遞)] 1. 역참(驛站) 국내 교역이 대부분 장시나 행상에 의존해 있던 만큼, 도시와 도로의 발달은 더디었다. 지방에는 관아를 중심으로 극히 작은 행정적 소도시가 있을 뿐이었고, 이런 소도시 사이를 연결하는 작은 길이 있을 뿐이었다. 육상교통으로 사람은 보행, 기마 이외에는 교자(轎子)를 주로 사용하였고 짐(物貨)을 수송하는 데에는 인력, 소나 말 이외는 관에서는 대차(大車), 편차(便車), 곡차(曲車), 강주(杠輈) 등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보통 가정에서는 전거(田車) 조차도 보급되지 못하였었다. 물화의 수송에는 인력과 우마가 이용되었을 뿐, 민간에는 수레도 보급되지 않았다. 수로에서는 판선(板船)이 많이 이용되었다. 우리나라 역로(驛路)제도는 487년(炤知王 9) 신라(新羅)에서 ..

향(鄕)

향(鄕) 군현(郡縣)에 비하여 소(小)하다. 시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백제, 신라시대인가 하다. 고서(古書)에 운향(云鄕)은 12,500가(家)를 통할한다하나 미가신(未可信)이로다. 능향(綾鄕) - 옹동면 칠석리 원능향 나향(羅鄕) - 알수 없으나 신태인면 청천리 원상서동(元祥瑞洞)인가 의심1) 나향( 태인면 낙양리 원낙양 혹은 신태인읍 청천리 원상서동) 도전부곡(산외면 정량리 원도화동으로 추정), 개문부곡(산내면으로 추정) 대곡부곡(산외면 동곡리 원동곡 혹은 화죽리 죽동 대곡으로 추정) 그밖에 거산역이 태인면 거산리 원거산에 있었고, 정어원이 옹동면 용호리 정어치아래에 있었다. ------------------------------------------------ 1) 張奉善, 『井邑郡誌』(정읍문화원, ..

조선시대 태인현의 도잠실(都蠶室)

고전번역서 > 불우헌집(不憂軒集) > 불우헌집 제2권 > 문(文) 벼슬에서 물러난 후 시정의 폐단을 진달하는 소 성종 2년 신묘년(1471)에 구언(求言)의 하교에 응하여 올린 것이다. 7. 각 도의 도잠실(都蠶室)이 없어졌거나 남아 있는 형상에 대해서는 신이 알지 못하겠습니다. 다만 태인현 도잠실의 일로 보자면, 혁파된 지 이미 오래되어 뽕나무는 늙고 썩어서 거의 다하게 되고 뽕밭은 백성의 밭이 되어서 이미 양전안(量田案)에 들고 백성이 이를 바탕으로 산 것이 오래입니다. 지금 신묘년(1471, 성종2)에 처음으로 도잠실을 다시 세우고 앞에서 말한 백성의 밭에 뽕나무를 빽빽하게 심은 결과 오로지 살아가기만 바라는 백성의 근심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신은 원하옵건대, 잠실에서 2백여 보 떨어진 동서의..

조선시대 대동작공(大同作貢) - 태인의 작목(作木)과 작포(作布)

고전번역서 > 만기요람(萬機要覽) > 재용편 3 > 대동작공(大同作貢) 작목포전(作木布錢) 작목(作木) - 조선 시대에, 전세(田稅)를 받을 때 쌀과 콩 대신에 무명으로 환산하여 바치게 하던 일. 쌀 한 섬에 세 필 반, 콩 한 섬에 두 필 반, 삼수미 한 섬에 세 필로 하는 따위인데, 무명이 나지 않고 베가 나는 곳은 베로 대신하였다. 포전(布錢) -원래 호미와 같은 농기구의 일종을 화폐로 사용하던 곳이 변형된 것으로 자루를 자루를 끼우는 곳도 있고 머리 부분이 평평하다 하여 평수(平首)라하고 다리가 각이 졌다하여 방족(方足)이라 하여 평수방족포라 한다. 관동(關東)ㆍ삼남(三南)의 산군은 작목(作木)ㆍ작포(作布)한다. 무명[木]이면 돈[錢]과 무명을 각각 반씩으로 하고, 1필[疋]의 대전(代錢)은 2냥..

차[茶]나무

우리나라의 차나무 분포 차나무가 자랄 수 있는 한계선은 북위 42˚로 소련의 카스피해(Caspian Sea) 서쪽 그루지아(Gruziya)에서부터 남아프리카 29˚선까지이며 세계 30여 개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시대 「세종실록 지리지(世宗實錄地理誌)」에 의하면 경상도 8개소, 전라도가 28개소로 도합 36개의 군 현에서 차가 생산되는 것으로 나와 있으며 이후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과 노사신(盧思愼), 양성지(梁誠之) 등이 성종 때 편찬한 것을 중종 때(1530년) 이행(李荇)이 증보하였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전라도 28개소, 경상도 10개소의 군 현에서 생산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니 경상도 2개소가 더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때 침략자 일..

태인면(泰仁面)은 정읍(井邑)의 낙지(樂地) - 태인 팔경

태인면(泰仁面)은 정읍(井邑)의 낙지(樂地)1) 본(本) 면(面)은 이조초(李朝初)로부터 오백여년간(五百餘年間) 지방행정(地方行政)을 취급(取扱)하던 관아(官衙) 소재지(所在地)로서 인구(人口) 삼천여(三千餘)를 포옹(抱擁)한 번화지(繁華地)이다. 피향정(披香亭), 만화루(萬化樓), 청녕헌(淸寧軒), 남고서원(南皐書院)은 본(本) 면(面)의 고적(古蹟)이요 함벽루(涵碧樓), 읍원정(挹遠亭)은 본(本) 면(面)은의 명승이며 거산평야(居山平野)는 본(本) 면(面)의 곡창(穀倉)이다. 태인시장(泰仁市場)이 있어서 물화(物貨)의 취산(聚散)이 여기를 중심(中心)으로 하며 경목선(京木線, 서을에서 목포가는 1번 국도), 태갈선(泰葛線, 태인에서 임실군 갈담면 가는 길) 道路는 십자(十字)로 관통(貫通)하여 교통(..

태인면 거산리(居山里)

태인면 거산리(居山里) 평지에 자리잡은 전형적인 농촌마을로 서쪽에 동진강이 흐른다. 본래(本來) 태인군 군내면(郡內面)의 지역으로서 거미처럼 생긴 산이 있으므로, 거미 또는 거산이라 하였는데, 거산리는 고려(高麗)시대 이후 삼례도(參禮道)의 거산역(居山驛)이 있었다. 1416년(太宗 16) 8월 태산현(泰山縣)과 인의현(仁義縣)을 병합한 태인현(泰仁縣)의 맨 처음의 고을 터가 시산리(詩山里 : 현 칠보면)에서 이곳으로 옮겨 왔던 것이다. 그러나 터가 좁아서 2년 후 태성리(泰成里 : 현 泰仁東軒)로 다시 옮겼다.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군내면(郡內面)의 구오리(舊五里), 육리(六里), 십일리(十一里), 거산리(居山里)와 동촌면(東村面)의 신성리(新成里), 정동리(井洞里)의 각 일부(一..

태인면 고천리(高川里)

태인면 고천리(高川里) 평지와 언덕에 자리잡은 농촌마을로 동쪽에 용호천이 흐른다. 본래(本來) 태인현의 인곡면(仁谷面) 지역으로서, 높은 내가 있으므로 높은내 또는 고천(고천)이라 하였는데,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인곡면(仁谷面)의 고천(元高川), 왕림리(旺林里), 서주리(西走里), 관동(冠洞), 녹동(鹿洞)과 군내면(郡內面)의 쌍갈리(雙喝里) 일부(一部), 옹지면(瓮池面)의 소일리(小一里)의 각 일부(一部)를 병합하여, 중심마을 이름을 따서 고천리라 하고, 정읍군 태인면에 편입되었다. 『정읍군지(1936)』에 따르면 고천리(高川里), 관동(冠洞), 녹동(鹿洞), 왕림리(旺林里), 서주동(西走洞)으로 되어있다.1) 현재의 분리는 원고천(元高川)마을, 관동(冠洞)마을, 녹동(鹿洞)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