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번역서 > 만기요람(萬機要覽) > 재용편 3 > 대동작공(大同作貢)
작목포전(作木布錢)
작목(作木) - 조선 시대에, 전세(田稅)를 받을 때 쌀과 콩 대신에 무명으로 환산하여 바치게 하던 일. 쌀 한 섬에 세 필 반, 콩 한 섬에 두 필 반, 삼수미 한 섬에 세 필로 하는 따위인데, 무명이 나지 않고 베가 나는 곳은 베로 대신하였다.
포전(布錢) -원래 호미와 같은 농기구의 일종을 화폐로 사용하던 곳이 변형된 것으로 자루를 자루를 끼우는 곳도 있고 머리 부분이 평평하다 하여 평수(平首)라하고 다리가 각이 졌다하여 방족(方足)이라 하여 평수방족포라 한다.
관동(關東)ㆍ삼남(三南)의 산군은 작목(作木)ㆍ작포(作布)한다. 무명[木]이면 돈[錢]과 무명을 각각 반씩으로 하고, 1필[疋]의 대전(代錢)은 2냥, 베[布]도 같음. 영종(英宗) 병진(1736, 영조 12)에 예조판서(禮曹判書) 조현명(趙顯命)의 주달(奏達)에 의하여 귀천(貴賤 비싸고 헐한 것)을 물론하고 돈과 무명을 반씩으로 하였음 베[布]이면 관동은 순전히 베[純布]로 하고, 양남(兩南)은 대전(代錢)으로 한다. 정종 임자(1792, 정조 16)에 도계(道啓)로 인하여 베 대신[代]에 순전히 돈으로 정식(定式)하였음. 관동의 영동(嶺東) 9읍 강릉(江陵)ㆍ삼척(三陟)ㆍ평해(平海)ㆍ간성(杆城)ㆍ고성(高城)ㆍ통천(通川)ㆍ울진(蔚珍)ㆍ양양(襄陽)ㆍ흡곡(歙谷) 영서(嶺西) 중 7읍 정선(㫌善)ㆍ평창(平昌)ㆍ회양(淮陽)ㆍ금성(金城)ㆍ금화(金化)ㆍ인제(麟蹄)ㆍ평강(平康) 은 모두 작포(作布)한다. 쌀 5말을 베 1필로 함. 좁쌀도 같음. 호서(湖西)의 산군(山郡) 14읍 청산(靑山)ㆍ진령(鎭嶺)ㆍ영춘(永春)ㆍ문의(文義)ㆍ옥천(沃川)ㆍ괴산(槐山)ㆍ회덕(懷德)ㆍ단양(丹陽)ㆍ연풍(延豊)ㆍ황간(黃磵)ㆍ영동(永同)ㆍ청풍(淸風)ㆍ회인(懷仁)ㆍ보은(報恩) 은 작목(作木)하고, 반산반연(半山半沿 반은 산간, 반은 연안(沿岸)인 지역) 6읍 진천(鎭川)ㆍ연기(燕岐)ㆍ목천(木川)ㆍ청주(淸州)ㆍ전의(全義)ㆍ청안(淸安) 은 절반을 작목(作木)한다. 쌀 6두를 무명 1필로 함. 호남(湖南)의 산군 중 21읍 남원(南原)ㆍ광주(光州)ㆍ태인(泰仁)ㆍ담양(潭陽)ㆍ순창(淳昌)ㆍ금구(金溝)ㆍ임실(任實)ㆍ남평(南平)ㆍ능주(綾州)ㆍ진안(鎭安)ㆍ창평(昌平)ㆍ곡성(谷城)ㆍ금산(錦山)ㆍ동복(同福)ㆍ무주(茂朱)ㆍ고산(高山)ㆍ구례(求禮)ㆍ옥과(玉果)ㆍ화순(和順)ㆍ용담(龍潭)ㆍ진산(珍山) 은 작목(作木)하고, 쌀 8두를 무명 1필로 함. 작포(作布)도 같음 2읍 운봉(雲峯)ㆍ장수(長水) 은 작포한다. 영남(嶺南)의 산군 중 45읍 풍기(豊基)ㆍ예천(醴泉)ㆍ흥해(興海)ㆍ영천(永川)ㆍ청도(淸道)ㆍ경산(慶山)ㆍ의성(義城)ㆍ영덕(盈德)ㆍ용궁(龍宮)ㆍ봉화(奉化)ㆍ진보(眞寶)ㆍ연일(延日)ㆍ예안(禮安)ㆍ군위(軍威)ㆍ의흥(義興)ㆍ신녕(新寧)ㆍ하양(河陽)ㆍ자인(慈仁)ㆍ청하(淸河)ㆍ언양(彦陽)ㆍ상주(尙州)ㆍ합천(陜川)ㆍ금산(金山)ㆍ문경(聞慶)ㆍ함창(咸昌)ㆍ개령(開寧)ㆍ지례(知禮)ㆍ삼가(三嘉)ㆍ순흥(順興)ㆍ영양(英陽)ㆍ안동(安東)ㆍ청송(靑松)ㆍ영해(寧海)ㆍ장기(長鬐)ㆍ경주(慶州)ㆍ영천(榮川)ㆍ대구(大邱)ㆍ성주(星州)ㆍ칠곡(漆谷)ㆍ인동(仁同)ㆍ비안(比安)ㆍ선산(善山)ㆍ초계(草溪)ㆍ고령(高靈)ㆍ동래(東萊) 은 작목(作木)하고 쌀 7두를 무명 1필로 함. 작포도 같음 4읍 거창(居昌)ㆍ안의(安義)ㆍ산청(山淸)ㆍ함양(咸陽) 은 작포한다. ○ 관동의 영서(嶺西) 4읍은 작전(作錢)한다. 이천(伊川)ㆍ안협(安峽)ㆍ양구(楊口)ㆍ영월(寧越). ○ 정종(正宗) 임자년에 도계(道啓)에 의하여 작전(作錢)했음. 순전한 좁쌀 1석을 돈 6냥으로 하였음. 해서의 산군 4읍 신계(新溪)ㆍ곡산(谷山)ㆍ수안(遂安)ㆍ서흥(瑞興). ○ 숙종(肅宗) 계사(1713, 숙종 39)에 도계에 의하여[癸巳因道啓] 작전하였음 및 장산(長山) 이북(以北) 11읍의 쌀ㆍ좁쌀, 황주(黃州)ㆍ안악(安岳)ㆍ신천(信川)ㆍ재령(載寧)ㆍ장연(長淵)ㆍ은율(殷栗)ㆍ장련(長連)ㆍ문화(文化)ㆍ풍천(豊川)ㆍ송화(松禾)ㆍ봉산(鳳山). ○ 영종 임신(1752, 영조 28)에 호조(戶曹)의 품지(稟旨 왕에게 아뢰어 하문(下問)받는 것)에 의하여 작전하였음 이남(以南) 8읍의 좁쌀 해주(海州)ㆍ연안(延安)ㆍ배천(白川)ㆍ평산(平山)ㆍ금천(金川)ㆍ옹진(瓮津)ㆍ강령(康翎)ㆍ토산(兎山). ○ 정종 신축(1781, 정조 5)에 도계(道啓)에 의하여 좁쌀은 작전하고, 쌀은 직접 납입하였다 은 모두 작전한다. 쌀 1석을 돈 4냥 5전, 좁쌀 1석을 3냥 5전으로 한다.
[주D-001]작포(作布) : 전세(田稅)를 징수할 때 미곡이 나지 아니하고 베가 나는 곳에는 미곡 대신에 베로 받는 것.
[주D-002]조현명(趙顯命) : 1690~1752.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치회(稚晦), 호는 귀록(歸鹿). 숙종 기해년에 문과에 급제. 영조 무신년 난(亂)에 원수 오명항(吳命恒)의 종군관으로 책훈(策勳)되어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으며 벼슬은 영의정에 이름. 시호는 충효(忠孝).
[주D1-001]대신[代] : ‘대신[代]’이 어느 본에는 ‘作’으로 되어 있음.
[주D1-002]황간(黃磵) : ‘황간(黃磵)’의 ‘磵’이 어느 본에는 ‘澗’으로 되어 있음.
[주D1-003]보은(報恩) : ‘보은(報恩)’이 어느 본에는 ‘恩津’으로 되어 있음.
[주D1-004]계사(1713, 숙종 39)에 도계에 의하여[癸巳因道啓] : ‘계사에 도계에 의하여[癸巳因道啓]’가 어느 본에는 ‘因道啓癸巳’로 되어 있음.
'제5편 경제사회(삶의 틀) > 태인의 경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인 5일장 (0) | 2020.07.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