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장 현대(現代)와 태인
제 1절 8․15광복(八一五光復)
광복(光復)이란 대한제국(大韓帝國)이 붕괴(崩壞)되면서부터 1910년 국권을 빼앗긴 이후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 패하여 우리나라가 해방되던 날까지의 시기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반일민족독립운동의 사상과 운동을 포괄하는 관념이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의 일본의 패전이 8·15광복의 직접적인 계기이지만 1910년 8월 22일 일본의 강제합병 이후 35년간 민족해방(民族解放)을 위한 독립운동(獨立運動)은 계속 전개(展開)되었다.
1941년 12월 시작된 제2차 세계대전이 1943년 들어 연합국의 우세가 확실해짐에 따라 연합국측은 전후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1943년 카이로회담을 열었으며, 한국에 대해서는 적당한 시기에 독립시킬 것을 결의하였다. 1945년 2월 얄타회담에서는 신탁통치가 거론되었으며, 1945년 7월 포츠담선언에서는 카이로선언이 재확인되었다. 1945년 8월 6일 일본의 나가사키(長崎)·히로시마(廣島)에 원자폭탄이 투하되고, 8월 9일 얄타협정에 따라 러시아가 대일선전포고를 한데 이어 38선 전역을 점령하였다. 러시아의 남하를 우려한 미국이 38선 분할안을 제기하였고 8월 15일 일본은 무조건 항복하였다. 9월 8일 미군이 인천에 상륙하였으며, 한반도는 자유주의 미국과 사회주의 러시아가 점령하였다.
광복이 되었으나 국제적인 인정을 받지 못한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의 정부요인은 개인자격으로 귀국하였고, 정계는 박헌영(朴憲永)의 조선 인민공화국, 여운형(呂運亨)의 조선인민당, 김성수(金性洙)의 한국민주당, 김구(金九)의 한국독립당으로 분열되었다. 1945년 12월 28일 모스크바삼상회의는 한국에 대해 미·영·러·중 4개국의 5년간 신탁 통치를 결정하였으며, 이에 대해 모든 정당과 사회단체들이 반탁(反託)을 주장 하였으나, 1946년 1월 2일 공산당은 친탁으로 돌아섰다.
한편 1946년 1월 16일과 1947년 5월 21일, 2차례의 미소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으나 합의를 보지 못하고 10월 18일 무기휴회에 들어갔다. 그러자 미국은 한국문제를 UN(United Nations: 국제연합)으로 이관하였으며, UN은 1948년 1월 23일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북한이 입국을 거부함에 따라 1948년 5월 10일 남한만의 총선거를 실시하고 8월 15일 대한민국정부(大韓民國政府)를 수립(樹立)하였다.
북한에서는 1946년 2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를 구성하고 급진적인 사회개혁을 추진하였으며, 1947년 2월 사실상의 정부인 북조선인민위원회를 수립하였다. 1948년 2월 임시헌법을 공포하고 9월 9일 김일성을 수상으로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이와 같이 남북한에서 각기 단독 정부가 수립되려는 움직임이 계속되자, 1947년 말부터 중도파 정당들을 중심으로 미·러 양군의 철수와 남북정당들의 직접적인 협상을 통한 자주적 남북통일정부수립운동이 추진되었다. 1948년 4월 말 남북조선제정당사회단체 연석회의와 남북요인회담이 평양에서 개최되었으나 남북한 단독정부수립을 저지시키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8·15광복을 맞은 한국 민족의 역사적 과제는 일제식민통치의 잔재를 청산하고 자주독립국가의 토대를 세우는 것이었으나 미국과 러시아는 한국의 자주독립국 가수립을 원조하기 보다는 각기 자국의 영향력을 반영하는 국가를 건설하는데 1차적인 목표를 두었으며, 국토분단으로 38선을 기준으로 공산주의와 민주주의가 진행되었다. 이 민족분열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6·25전쟁이 일어났으나 이것은 평화적(平和的) 민족통일(民族統一)의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고, 8·15광복(光復) 이후 우리민족의 과제(課題)로 남아 있다.
제 2절 미군정(美軍政)
미군정(美軍政) 기간이란,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함에 따라 9월 8일 북위 38도 이남에 진주한 미군이 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수립 때까지 3년간 남한지역에 실시한 군사통치기간을 말한다.
미․소간의 한반도 분단점령이 결정된 후 중장 J.R.하지의 지휘 하에 미 육군 24군단은 9월 8일 인천에 상륙, 서울로 들어와 9일 삼팔선이남 지역에 대한 군정을 포고한 데 이어 12일 소장 A.V.아널드가 군정장관에 취임함으로써 미군정체제(美軍政體制)가 수립되었다.
미군정(美軍政)은 14일 총독부의 일본인 관리들을 행정고문으로 두고 일본의 식민지 통치기구를 그대로 이용하기로 결정하였다. 또 18일에는 미군장교를 각 국장에 임명하고, 19일 ‘재조선 미육군사령부 군정청’이라는 정식명칭으로 통치를 시작하였다. 이는 곧 미군정(美軍政)이 정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배타적인 권위와 강제력을 독점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군정(美軍政)은 강제력과 권위를 배타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10월 10일 군정장관 아널드의 성명을 통하여 좌익이 주도하는 인민공화국을 부인하고, 1946년 1월 15일 8 ·15광복 이후 생겨난 사설군사단체, 특히 조선국군준비대의 해산령을 발표, 국방경비대를 발족시켰으며, 2월 23일 정당등록법을 제정하고, 3월 29일 행정기구를 확대하는 한편, 명령계통을 단일화하다 중앙집권화를 구체화하였다.
또한 4월 23일 인민보, 자유신문, 현대일보 등을 폐간·처분하고, 5월 15일 ‘정판사 위조지폐사건’을 발표하였으며, 18일 해방일보 정간명령에 이어 9월 박헌영(朴憲永)·이주하(李舟河)·이강국(李康國) 체포령을 내렸다. 그리고 1947년 8월 11∼14일 민족주의민주주의전선 중앙위·인민공화당 중앙위·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 중앙위 사무소를 폐쇄하고, 좌익계열 1,000여 명을 검거하였으며, 1948년 5월 8일 5·10선거에 대비하여 미군에 특별경계령을 발포하는 등 일련의 조치를 취하였다.
한편 관료기구에 한국인을 참여시키기 위한 조치로 1945년 10월 5일 군정장관 고문관에 위원장 김성수(金性洙)를 비롯하여 한국인 11명을 임명하고, 12월 한국인·미국인 양 국장제를 실시하였다. 또한 1946년 2월 14일 주한미군 사령관 하지의 자문기구로 한국 지도자 38명으로 구성된 ‘남조선 대한민국 대표민주의원’을 출범시키고, 19일 ‘남조선 과도입법의원’(의장 金奎植)을 개원하였다. 그리고 5월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이후에는 좌우합작운동을 지원하는 한편, 1947년 2월 10일 과도입법의원 안재홍(安在鴻)을 민정장관으로 임명하고, 4월 5일 중앙정부를 13부 6처로 확대 개편하였다. 5월 17일, 한미 양국인이 임명되던 인사배치를 끝내고 미국인은 고문관에, 한국인은 각 부처 의장에 임명하였으며, 미군정(美軍政廳)청 한국인 기관을 ‘남조선(南朝鮮) 과도정부(過渡政府)’라고 개칭하였다.
이 시기에는 수많은 정당과 사회단체가 결성되어 이합집산을 거듭하였다. 그중 대표적인 정치세력은 조선공산당-남로당으로 이어지는 좌익세력과, 여운형(呂運亨)이 이끌었던 인민당-근민당으로 이어지는 중도좌파세력, 김규식을 중심으로 민족자주연맹을 결성하였던 중도우파세력, 우익진영으로서 한민당세력, 김구(金九)가 중심이 되었던 한독당세력, 독립촉성중앙협의회-독촉국민회로 이어지는 이승만(李承晩)을 중심으로 한 세력 등이다. 이들 각 세력은 자신의 계급적 기반과 이해관계 그리고 사상에 따라 독자적인 정치활동을 전개하였다.
우익진영은 국제정치의 현실을 냉정하게 분석하여 미소의 합의가 가능하지 않으리라는 판단 아래 소련 및 좌익진영과의 협상을 배격하고 미군정(美軍政)의 냉전정책을 추종하였다. 그래서 초기에는 신탁통치를 반대하는 등 미군정(美軍政)과 마찰이 있기도 하였으나,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유엔의 결의에 따라 총선거를 준비, 1948년 5월 10일에 남한지역에만 실시하여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됨으로써 만 3년에 미군정(美軍政)이 끝나는 현실정치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친일세력(親日勢力淸算)을 청산(復興)하지 못한 채 좌우의 대립과 민족의 분열을 조장 ·격화시킴으로써 민족정기(民族精氣)를 흐려 놓기도 하였다.
중도(中道) 진영(陣營)은 미국이나 소련의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중도적인 입장에서 좌우합작(左右合作)을 통하여 민족문제(民族問題)를 해결(解決)하려 하였지만, 미군정(美軍政)에 의하여 정국안정(政局安靜)과 좌익세력(左翼勢力)에 대한 견제세력(牽制勢力)으로 이용되었고, 결국 좌우합작(左右合作) 및 남북협상(南北協商)에 실패(失敗)함으로써 몰락(沒落)하였다. 박헌영 중심의 좌익진영(左翼陣營)은 ‘부르주아민주주의혁명’을 통하여 사회주의국가를 건설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미군정(美軍政)으로부터 심한 탄압을 받았고, 찬탁을 계기로 대중들로부터 유리되었으며, 이후의 무장투쟁에서도 실패함으로써 남한(南漢)에서 몰락(沒落)하였다.
결국 3년간 실시된 미군정(美軍政)의 점령(占領) 정책(政策)은 공산당을 비롯한 좌익진영을 배제하고, 한민당을 비롯한 우익진영(右翼陣營)을 독점적(獨占的)으로 진출(進出)시키는 결과를 낳았고 식민지(植民地) 잔재(殘在)의 완전한 청산(淸算)을 요구한 민중(民衆)과 독립운동세력(獨立運動勢力)들에게는 타격(打擊)을 가한 반면, 친일세력(親日勢力)에게 유리(有利)한 입지(立地)를 마련해주는 반역사적(反歷史的)인 결과(結果)를 초래했다.
제 3절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수립(政府樹立)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降伏)하자, 1945년 12월의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미·영·중·소 4개국에 의한 최고 5년의 신탁통치(信託統治)가 결정되었다. 이 안이 국내에 전해지자, 임정(臨政)을 중심으로 국민총동원위원회(國民總動員委員會)가 결성되어 반탁운동(反託運動)이 전개되었다.
이 신탁운동을 둘러싸고 임시정부(臨時政府)측은 결사적으로 반탁(反託)을 주장한 반면, 박헌영의 조선공산당 등 좌익 측은 찬탁(贊託)을 주장하여 의견이 엇갈리게 되었고, 이리하여 좌우의 제휴에 의한 민족통일공작(民族統一工作)은 절망적인 것이 되었다.
이러한 와중에서 1946년 1월, 미·소 공동위원회 예비회담이 열렸고, 이어 3월에는 정식 위원회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회의가 거듭되는 동안 차츰 결렬 상태에 빠졌고, 이 혼돈 속에서 타개를 위한 몇 가지 방도가 모색되었던 것이다.
첫째는 이승만을 중심으로 한민당이 호응하여 조직한 민족통일 총본부의 자율정부운동(自律政府運動)이었다. 얄타 회담과 모스크바 3상 결의를 취소하여 38선과 신탁통치를 없애고 즉시 독립 과도정부(過渡政府)를 수립하라는 것인 정읍발언이었다.1)
한편 김구(金九)를 중심으로 한 임시정부 계통의 한독당은 국민의회를 구성하여 반탁운동을 근본으로 하되 좌우합작과 남북통일을 실현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런가 하면 김규식·여운형 등은 중간우파와 중간좌파가 주도하여 좌우합작운동을 적극 추진하였다. 이들 좌우합작운동 주도세력들인 중도파 인사들은 선임정후반탁을 주창하여 찬탁의 입장에서 미·소 공동위원회의 재개를 통해 통일임시정부(統一臨時政府) 수립(樹立)을 주장하였다.
1945년 10월, 북한에 설치된 조선공산당의 분국. 10월 10~13일에 걸쳐 북조선 서북 5도 대표자 및 열성자 대회가 열리고, 여기서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이 만들어졌다. 책임비서 김용범, 제2비서 무정·오기섭이 선출되었다. 당시 북한의 주요 정치세력으로는 김일성 등 동북지방에서 무장투쟁을 전개해 온 세력, 현준혁·오기섭·주영하 등 국내파 세력, 조만식 등 민족주의 세력, 허가이·박창옥 등 소련출신 세력, 무정·최창익·김두봉 등 중국에서 활동하던 조선독립동맹 세력 등이 있었다.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은 국내·소련·중국에서 활동하던 공산주의자들을 총망라한 것으로서, 서울에 있는 조선공산당 중앙에 복속하는 것이었으나 내용상으로는 독립성을 유지했다. 북조선분국은 민주기지 노선에 입각, 일련의 ‘민주개혁’을 실시했으며, 46년 4월 북조선공산당으로 개칭되었다.
동시에 좌익세력들은 남한의 정치·경제·사회를 교란하는 여러 수단을 사용하였다. 1946년 5월 정판사 위폐사건을 계기로 공산당은 지하로 숨어들었고, 부산의 철도 파업을 계기로 일으킨 대구 폭동은 그들 지하운동의 대표적인 예였다. 이 사건 이후 미군정(美軍政)은 12월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을 창설하였고, 1947년 6월에는 미군정청(美軍政廳)을 남조선 과도정부(過渡政府)라 칭하였다. 1947년 5월에 제2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열렸다. 그러나 이 무렵 미․소 냉전이 격화되면서 매카시즘 열풍이 불던 때라 이 역시 미·소의 의견대립으로 양측의 입장만 확인한 상태로 결렬되고 말았다.
1947년 9월 17일 미국은 한반도의 문제를 유엔에 제출하여 이관하였다.
미국은 한국에서 유엔 감시 하에 총선거(總選擧)를 실시하고, 그 결과 정부가 수립되면 미·소 양군은 철수할 것이며, 이러한 절차를 잠시 협의하기 위해 유엔 한국 부흥위원단(復興委員團)을 설치할 것을 제안한 것이다. 이 결의안의 수정 통과로 유엔 한국위원단은 1948년 1월에 활동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소련의 반대로 북한에서의 활동은 좌절되었다. 1948년 2월의 유엔 총회에서는 가능한 지역 내에서만이라도 선거에 의한 독립정부(獨立政府)를 수립(樹立)할 것을 가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1948년 5월 10일에 남한에서만의 총선거가 실시되어 5월 31일에는 최초의 국회(國會)가 열렸다. 이 제헌국회(制憲國會)는 7월 17일에 헌법(憲法)을 공포(公布)하였는데, 초대 대통령에는 이승만이 당선되었다. 이어 8월 15일에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수립(樹立)이 국내외에 선포(宣布)되었으며, 그해 12월 유엔 총회(總會)의 승인(承認)을 받아 대한민국(大韓民國)은 합법정부(合法政府)가 되었다.
제 3절 6․25 전쟁
1950년 6월 25일에 6․25전쟁의 발발(勃發)로 민족의 비극을 초래하고 말았으니 우리지역의 상황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1950년 7월 17일 금강방어선(錦江防禦線)이 무너지자 7월 20일 오전 9시에 정읍경찰서원(井邑警察署員)은 비분(悲憤)의 후퇴작전(後退作戰)을 하게 되었다. 같은 날 오전 6시경부터 손예환서장(孫禮煥署長)과 김종남사찰계장(金鍾南査察係長) 및 김두운경무계장(金斗云警務係長, 出勤中) 지휘하(指揮下)에 서원 약 150명이 탈환(奪還)을 기약하고 태인과 산내면을 경유하여 일로(一路) 전남방향으로 후퇴하게 되었다. 후퇴도중에 자동차 고장으로 70여명의 서원(署員)은 전남(全南) 담양경찰서(潭陽警察署) 김만수보안계장(金萬洙保安係長) 지휘하에 전북탈환작전에 참가하고, 손예환 서장 부대의 약 80여명은 전남 광주에서 육군제5사단의 지휘영역을 맡아서 정읍서원(井邑署員)․고창서원(高敞署員)․김제서원(金堤署員)과 5사단소속장병(五師團所屬將兵)․청년방위대(靑年防衛隊)를 규합하여 부대를 편성하였다. 그리하여 정읍군(井邑郡) 탈환작전(奪還作戰)을 개시 1950년 7월 22일 오전 5시경부터 전남 장성을 경유하여 정읍시 외곽에 도착하여 정읍시내 초산상봉(楚山上峰)에 지휘본부(指揮本部)를 설치하고 정읍동초등학교 뒤산인 성황산(城隍山) 고지(高地)와 명륜동고지(明倫洞高地)를 점령한 후 감격적으로 정읍경찰서를 탈환하였다. 한편 당시 재산공비(才山共匪)를 지휘하전 윤일대(尹一大, 死亡)가 인솔한 유격대원(遊擊隊員) 18명은 경찰이 후퇴한 다음날인 7월 21일 이미 시내에 침입하여 남하하던 인민군 선발대(先發隊: 便衣隊)와 합류하여 정읍시내에 주둔하고 인민군 주력부대의 추격을 대기하고 있다가 경찰부대의 불의의 기습으로 혼비백산하여 시내에서 퇴각하고 말았다. 그러나 고부 및 태인방면으로부터 협공해오는 인민군주력부대와 합류하여 그날 오후 7시경 전차(戰車)를 선두로 다시 정읍시내에 투입하게 되니 대기하고 있던 아군(我軍)은 필사적인 공격을 가하였으나 구구식(九九式) 소총(小銃)으로 경무장(輕武裝)한 우리 군부대와 전차를 선두로 한 중무기(重武器)의 인민군 부대(野戰七百五部隊)와는 무장(武裝)의 열세 및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눈물의 재후퇴를 하게 되었다. 부대의 대부분은 지리멸렬(支離滅裂) 상태였을 뿐 아니라 진두지휘(陣頭指揮)를 하던 손예환서장(孫禮煥署長)과 김종남사찰계장(金鍾南査察係長) 등은 불행하게도 피포(被捕)되어 장렬한 전사를 하게 되었다.
9․28 수복(收復作戰) 당시 공비들의 동태는 UN군의 전격적인 수복 작전으로 인하여 지리멸렬되어 노령산맥(蘆嶺山脈)을 중심으로한 산악지대와 내장산을 중심으로 입암산(笠岩山) 및 고당산(古堂山) 등에 입산하여 거점을 두고 전남방면에서 패주(敗走)한 인민군 5명과 정읍시내 노동당(勞動黨) 산하(傘下) 각급 우익외곽단체의 열성분자(熱誠分子)를 규합하여 총 1,200명 정도의 병력으로서 정읍시를 사수하고 부근 김제읍을 탈취하고자 호시탐탐(虎視眈眈)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아래에 1950년 10월 1일 부임한 신조종서장(申道宗署長)은 10월 3일 규합된 경찰관 40명과 소총 23정, 기관총(機關銃) 2정의 경장비(輕裝備)로써 정읍시 신태인읍(新泰仁邑) 화호지서(禾湖支署)를 수복(收復)하는 한편 병력 및 장비의 보강으로 정읍시내를 위시하여 각 지서(支署) 탈환작전에 만반(萬般)의 전투태세(戰鬪態勢)를 확립하고 정확한 적(敵)의 정세(情勢)를 완전하게 파악하여 경찰국과 긴밀한 협조로 즉각 경북경찰국(慶北警察局) 응원병력 200명의 증원을 받아 결사대를 편성하여 태인(泰仁) 북면지서(北面支署)를 완전수복(完全收復)하였다. 그 후 10월 23일에는 소수 병력으로서 유격전을 단행하여 정읍시내를 완전수복(完全收復)하고 그날로 지방우익청년(地方右翼靑年)으로 구성된 치안대(治安隊)로부터 경찰제반사항(警察諸般事項)을 인수하였으며 청년단체(靑年團體)를 강화하여 정읍시 치안(治安)의 주도권(主導權)을 완전히 장악(掌握)하게 되었다.2)
--------------------------------------------------------------------
1) 이승만의 정읍 발언(1946년 6월 3일),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의 필요성을 최초로 발설. 정읍동초등학교 지방 유세 중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주장함. 브리태니커.
2) 최현식편, 『增補 井邑郡誌』(정읍문화원, 1974. 3.), 219~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