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절 태인의 위치(位置)
위치는 인류가 생활하고 있는 구체적 장소로서 지표상의 한 지역이 다른 지역에 대해 상대적인 관계로 나타나는 공간개념으로 그 지역의 기후, 산업 활동, 생활양식, 역사 등을 결정짓는 기본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인접지역과의 위치 여하에 따라 그 지역이 갖는 의미와 기능 및 가치가 달라진다.
1. 수리적(數理的) 위치
수리적 위치는 경위도상의 위치를 말한다. 이는 지구 표면상의 일정 지점을 위도와 경도로 표시한 위치로서, 변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불변의 위치 또는 절대적 위치라고도 한다.
수리적 위치는 기후, 식생, 계절, 시간대 등을 결정한다.
태인은 경위도상으로 보면 35° 65′ 13.29″ N 사이와 126° 94′ 30.04″ E사이의 중위도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어, 중위도에 있어 기후가 온화하고 4계절의 구분이 뚜렷하여 인간 생활에 적합하다.
태인면과 같은 경도 상에 있는 도시는 북으로는 익산, 함열, 부여, 아산, 평택, 수원, 안양, 서울 종로구, 남으로는 북광주, 화순, 장흥 등이 있으며, 같은 위도 상에 있는 도시로는 왼쪽으로는 변산, 오른쪽으로는 장수, 거창, 청도, 울산 등을 들 수 있다.
<그림 1-1> 정읍시 행정구역도
1965년에 발행된 태인지(泰仁誌)에는
“…위치가 전라북도 서남부 동경 126도 25분 53초에서 127도 7분 47초
북위 35도 27분 52초에서 35도 45분 22초…”
라고 기록되어 있다.
경위도에서 본 태인의 4극은 극동(태인면 증산리 동단), 극서(태인면 궁사리 서단), 극남(태인면 태남리 남단), 극북(태인면 박산리 북단)으로 경계되고 있다.
<표 1-1> 태인 주요지점 경위도(經緯度)
태인 면사무소 경위도(전북 정읍시 태인면 정읍북로 1193) 35° 65′ 06.47″ N, 126° 93′ 25.13″ E 태인 피향정 경위도(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산로 2951) 35° 65′ 13.29″ N, 126° 94′ 30.04″ E
<표 1-2> 태인면의 경위도상의 위치 | |||||
단 |
지명 |
극점 |
단 |
지명 |
극점 |
동단 |
태인면 증산리 1-2 |
동경 126° 97′ 15.26″ |
남단 |
태인면 태남리 산 9-3 |
북위 35° 59′ 90.03″ |
서단 |
태인면 궁사리 1015-49 |
동경 126° 89′ 35.50″ |
북단 |
태인면 박산리 산 20 |
북위 35° 69′ 37.24″ |
2. 지리적(地理的) 위치
지리적 위치는 지리학적 사실을 근거로 위치를 설명하는 것으로 인간 생활과 관련하여 나타낸 위치이며, 수리적 위치와 함께 시대와 인문 사회적 요인에 의한 변화가 없는 위치가 바뀌지 않는 절대적 위치에 속한다.
태인면은 한반도의 서남면, 전라북도의 남서동부, 정읍시의 중북부, 전주와 광주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7개 시·군(김제시, 부안군, 고창군, 전남 장성군, 순창군, 임실군, 완주군)이 인접하고 있고, 백제의 흥복운동(興復運動)이 일어났을 때 신라군이 3차에 걸쳐 백제군를 공격하는 경주(慶州)에서 고령-거창-관촌-태인-고부를 잇는 서해안 진출의 최단거리 횡단 지점이며, 호남 서해안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중요한 지역이고, 동쪽으로는 옹동면, 서쪽과 북쪽으로는 정우면, 신태인읍, 감곡면, 남쪽으로는 북면, 칠보면과 경계를 이르고 있다.
남동쪽으로는 노령산맥이 있어 산지를 이루고, 북서쪽으로는 노령산맥에서 뻗어나간 언덕이 조금씩 낮아져 평야를 이루고 있다.
교통은 1번 국도가 시가지의 중심을 통과하고, 북쪽으로는 전주, 남쪽으로는 정읍, 동쪽으로는 칠보와 연결되어 있으며, 호남고속도로 태인 교차로가 있고, 최근에는 우회도로가 새로이 건설되었다.
『세종실록 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1454년)』권 151 지리지 전라도 전주부 태인현에
“… 사방 경계(四境)는 동·북쪽으로 금구(金溝)에 이르는데, 모두 13리요, 서쪽으로 김제(金堤)에 이르기 21리, 남쪽으로 순창(淳昌)에 이르기 37리이다. …”
라고 기록되어 있고,
『태인군읍지(泰仁郡邑誌, 1739년(정조 13)경에 만들어진 읍지를 뒤에 필사한 읍지, 奎 17410)』에는 지리적 위치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있다.
象頭山在邑東邊十五里竹寺山在邑北邊二里母岳山在邑東邊二十里雲住山 在邑南邊三十里犬川在邑北邊十里南川在邑南邊五里 [국역] 상두산은 읍치의 동쪽 15리, 죽사산은 북쪽 2리, 모악산은 동쪽 20리, 운주산은 남쪽 30리, 견천은 북쪽10리, 남천은 남쪽 5리에 있다. |
『여지도서(輿地圖書, 1757년(영조 33)부터 1765년(영조 41) 사이에 편찬)』에는
“… 전주진관(全州鎭管) 소속이다. 동쪽으로는 임실현(任實縣)과의 경계까지 40 리이며, 서쪽으로는 김제군(金堤郡)과의 경계까지 30 리이다. 남쪽으로는 순창군(淳昌郡)과의 경계까지 50 리이며, 북쪽으로는 금구현(金溝縣)과의 경계까지 20 리이다. 북쪽으로 서울까지 5백 60리로, 여드레 가는 거리이다. 동쪽으로 감영(監營)까지 70 리로, 하루 가는 거리이다. 남쪽으로 병영(兵營)까지 2백 80리로, 사흘 가는 거리이다. 남쪽으로 좌수영(左水營)까지 3백 30리로, 나흘 가는 거리이다. 남쪽으로 우수영(右水營)까지 4백 리로, 닷새 가는 거리이다. 동남쪽으로 통영(統營)까지 5백 리로, 엿새 가는 거리이다.
【방리(坊里)】
[동쪽방향]
옹지면(瓮池面) 관아에서 10리이다. … 동촌면(東村面) 관아에서 10리이다.
산외면(山外面) 관아에서 30리이다.
[동남쪽 방향]
산내면(山內面) 관아에서 40리이다. … 고현내면(古縣內面) 관아에서 20 리이다. …
[남쪽 방향]
거산면(居山面) 관아에서 2리이다. … 남촌면(南村面) 관아에서 20리이다. …
[서쪽 방향]
서촌면(西村面) 관아에서 10리다. … 흥천면(興天面) 관아에서 7리이다. …
용구산면(龍口山面) 관아에서 30리이다. …
[서북쪽 방향]
북촌면(北村面) 관아에서 20리이다. … 사곡면(沙谷面) 관아에서 25리이다. …
[북쪽 방향]
인의곡면(仁義谷面) 관아에서 10리이다. … 은기동면(銀器洞面) 관아에서 20리이다. …
감산면(甘山面) 관아에서 20리이다. …”
라고 기록되어 있다.
고종 년간(高宗 年間)의 읍지(邑誌)에 수록된 지도를 보면 중요도로로 원평~통사동 솟돌재~태인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있었다.
『井邑郡誌, 1936)』에는
“… 동서(東西) 2리(二里), 남북 3리(三里) 면적(面積) 2방리(方里) 613을 점유(占有)하였으니 동남북(東南北) 3면(面)은 칠보(七寶), 상두양산맥(象頭兩山脈)이 위리굴곡(逶迤屈曲)하여 북(北), 칠보(七寶), 옹동(瓮東), 감곡제면(甘谷諸面)과 상계(商界)하고 서(西)는 평야원개(平野遠開)하여 신태인(新泰仁), 정우양면(淨雨兩面)과 상접(相接)하였다.…”
3. 관계적(關係的) 위치
관계적 위치는 역사적 위치이며 가변적 위치라고도 볼 수 있다.
고대(古代)의 원삼국 시대에는 마한의 54국 중 대석삭국(大石索國, 이병도, 이유립의 비정(比定)), 일리국(一離國), 불미국(不彌國), 지반국(支半國)(천관우 비정)이 태인 지방에 있었다고 추정된다.
삼국(三國)시대에는 태인이 백제의 태산현(泰山縣)과 인의현(仁義縣)으로 나뉘어 있다가 웅진 도독부(熊津都督府)를 지금의 공주 지방에 설치하여 대시산군(大尸山郡)으로, 663년(고려 풍왕 3) 당나라 치하에서 대시산을 대산현(帶山縣)으로 개칭하여 고사주(古四州)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신라(新羅)가 삼국을 통일한 후, 통일신라 757년(경덕왕 16)에 대시산을 대산군(大山郡)으로 개칭, 빈굴양은 빈성으로 개칭하여 태산(泰山) 등으로 불렸고, 전주도독부(全州都督府) 관내 군이 되었다. 인의현(仁義縣)은 통일신라 757년에 빈성(斌城), 무성(武城)이라 개칭하였다.
태산현(泰山縣)은 고려시대에 들어서 잠시 고부현(古阜縣)에 속하였다가, 936년(고려 태조 19)에는 이르러 영주(瀛州, 고부) 관찰사의 속현으로 감무(監務)가 설치되었다. 1018년(현종 9) 안남도호부를 전주로 다시 옮기고 고부군(古阜郡)으로 환원되었다. 1019년(현종 10) 두 현을 나누어 태산·인의현에 각각 감무가 설치되고, 정읍군(井邑郡)을 고부군(古阜郡)으로 환원시켰다. 1354년(공민왕 3) 때 태산군(泰山郡)에 감무관(監務官)을 두어 태산(泰山)으로 고치고 군(郡)으로 승격되었고, 인의현(仁義縣)을 편입하였다가 곧 분리하였다. 고려에 원병을 청하는 원나라의 사신으로 태산현인(泰山賢人) 임몽고불화(林蒙古不花)가 몽고에 들어가 활동하다 본국인 고려에 돌아오자 그 공으로 태산현을 군(郡)으로 승격시켰다.
인의현(仁義縣)은 936년(태조 19)에 인의현(仁義縣)이라 일컫고 영주(瀛州, 옛 古阜) 관찰사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940년(태조 23)에 빈성현(斌城縣)을 인의현(仁義縣)으로 고치고 대산 감무(監務)로 하여금 겸임하게 하였으며, 다시 951년(광종 2)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로 개칭되었고, 1018년(현종 9) 안남도호부를 전주로 다시 옮기고 고부군(古阜郡)으로 환원되었다. 다시 1019년(현종 10)에는 태산에 감무를 설치할 때, 인의를 함께 다스리게 하였다가 인의를 분리하여 감무를 두었다.
조선시대(朝鮮時代)에 이르러 인의현민들이 동쪽에 떨어져 있는 태산읍(칠보) 치소에 왕래하기가 불편하다하여, 1409년(조선 태종 9) 태산군(泰山郡)과 인의현(仁義縣)을 합하여 태인군(泰仁郡)이라 하였고, 현(縣)의 치소(治所)를 거산역으로 옮겼다.
1416년(태종 16) 8월, 현감(縣監) 황경돈(黃敬敦)이 고을 터를 중간지점인 현 태인면 거산리로 옮겼으나 터가 좁아서 1418년(태종 18) 현감(縣監) 오치선(吳致善)이 거산리에서 다시 현재의 위치인 태인초등학교로 옮기고 1419년 현아(懸衙) 건물을 세웠으며, 1421년(세종 3)에는 현감(縣監) 안기(安起)가 향교(鄕校) 성전(聖殿)을 세웠다. 조선에 이르러 불우헌 정극인이 향학당(鄕學堂)을 설치하였고, 현감(縣監) 영천자(靈川子) 신잠(申潛)이 4학(四學)을 설립하여 유학을 진흥시켰다.
1589년(선조 22) 정읍현(井邑縣) 초대(初代) 현감(縣監) 이순신(李舜臣)이 부임하여 겸임하였고, 1592년(선조 22) 손홍록(孫弘祿)과 안의(安義)가 전주사고(全州史庫)의 전적(田籍)을 내장산(內藏山)으로 옮겼다.
1716년에 태인 피향정(披香亭)을 국고(國庫)로 중건하였으니 모두 최치원(崔致遠) 선생(先生)의 유덕(遺德)을 추모(追慕)하는 사업으로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유교문화(儒敎文化)의 흥성(興盛)을 이루었다.
『태인현지(泰仁縣誌)』에는 영조(英祖)때 거산면(居山面)이 있었고,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全州府) 관할의 태인군(泰仁郡)으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칙령 제98호) 8도제를 폐지하고 전국을 23부로 구분하였으며, 목․부․군․현(牧府郡縣)의 명칭을 군(郡)으로 통일하여 23(府)에 각각 예속시켰는데, 이 때 전주부(全州府) 태인군(泰仁郡)이었다.
근대(近代)의 태인면은 1896년에 군내면(郡內面), 인곡면(仁谷面), 홍천면(興天面)을 구역으로 하는 태인군(泰仁郡)이었다. 태인군은 전북 26군중 2등군(2等郡)에 속하고 정읍군은 4등군(4等郡)에 속한다. (참고로 1등군은 전주, 남원이고 2등군은 고부, 김제, 태인이었다.)
1913년에 정읍군(井邑郡)으로 합해져서 태인면(泰仁面)이 되었다.
1914년 3월 1일에 부(府), 군(郡) 폐합(廢合)으로 전라북도는 폐군(廢郡)14, 신설 1개 군으로 1부 14군이 되었으며, 이때 산외일변면(山外一邊面), 산외이변면(山外二邊面), 산내일변면(山內一邊面), 산내이변면(山內二邊面),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고현내면(古縣內面), 동촌면(東村面), 옹지면(瓮池面), 사곡면(師谷面), 은동면(銀洞面), 감산면(甘山面), 북촌면(北村面), 용산면, 흥천면(興天面), 인곡면(仁谷面), 군내면(郡內面), 남촌이변면(南村二邊面), 서촌면(西村面)의 18개면이 태인군을 형성하였다. 오늘날 산외면(山外面), 산내면(山內面), 칠보면(七寶面), 옹동면(瓮東面), 감곡면(甘谷面), 신태인읍(新泰仁邑)을 포괄하는 지역이었다. 태인면 종래의 태인군(泰仁郡) 18개면, 고부군(古阜郡) 15개면, 정읍군(井邑郡) 8개 면을 합하여 정읍군(井邑郡)으로 신설되었고 행정구역(行政區域)은 19개면, 이때 정읍군(井邑郡) 정읍면(井邑面)이 신설되었다.
1935년 4월 1일 지방 행정구역 재조정 때에, 남촌이변면(南村二邊面), 서촌면(西村面)을 구역으로 하는 이웃 보림면(寶林面)을 없애고, 태서리(泰西里), 매계리(梅溪里), 태남리(泰南里), 오류리(五柳里)가 태인면(泰仁面)으로 편입되었다.
1983년 2월 15일, 대통령령 제11027호(1983. 1. 10. 공포)로 태인면(泰仁面) 백산리(栢山里)가 신태인읍(新泰仁邑)으로 편입되었다. 1990년 1월 1일, 군 조례 제1201호(1990. 3. 22. 공포)로 태인면 오류리(五柳里)가 북면(北面) 마정리(馬亭里)로 편입되었고, 1995년 1월 1일, 법률 제 4774호(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에 관한 법률, 1994. 8. 3. 공포)로 정주시(井州市)와 정읍군(井邑郡)이 도농복합형(都農複合型)의 통합 정읍시(井邑市)로 개칭(改稱)되었다.
그리고 마을의 위치와 구성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
가. 태인면의 14개 리 위치
나. 태인면의 리(里)와 마을의 구성
리 마을의 구성 거산리(居山里) 원거산(元居山), 신기(新基), 상동구(上洞口) 고천리(高川里) 원고천(元高川), 왕림(旺林), 관동(冠洞), 녹동(鹿洞) 궁사리(弓四里) 원궁사(元弓四), 강삼(江三), 원동(院洞) 낙양리(洛陽里) 원낙양(元洛陽), 내이(內二), 외이(外二) 매계리(梅溪里) 상산(上山), 중산(中山), 하산(下山) 박산리(朴山里) 박동(朴東), 박서(朴西), 여속(餘俗) 오봉리(五峰里) 원오봉(元五峰), 천오(川五), 천신(天新), 청석(靑石), 청학(靑鶴) 오류리(五柳里) 과학(過鶴) 증산리(甑山里) 상증(上甑), 하증(下甑), 점촌(店村) 태남리(泰南里) 덕두(德斗), 장재(壯才) 태서리(泰西里) 분동(粉洞), 주산(舟山), 서재(書才), 하동구(下洞口) 태성리(泰成里) 칠리(七里), 옥하(玉下), 향교(鄕校) 태창리(泰昌里) 육리(六里), 태산(泰山), 기지내(基地內), 용신(龍新), 시기(市基), 샘들내 태흥리(泰興里) 삼리(三里), 독양(犢養), 사리(四里), 오리(五里), 천두(川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