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인면 오봉리(五峯里)
본래(本來) 태인군의 흥천면(興天面) 지역으로서, 오봉(五峯)이라는 명호(名號)는 오봉복부형(五峯伏釜形)의 風水說에서 유래된 것인데, 상두산(象頭山)에서 뻗어 내린 천아산(天娥山)의 여맥이 다섯 개의 봉우리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흥천면(興天面)의 천신리(川新里), 왕림리(旺林里), 하일리(下一里)와 인곡면(仁谷面)의 박동리(朴東里), 박서리(朴西里), 낙양리 (洛陽里)및 군내면(郡內面)의 신기리(新基里), 천오리(川五里), 청석동(靑石洞)의 각 일부(一部)를 병합하여. 이 지역이 오봉산(五峰山)밑에 있으므로 그 이름을 따서 오봉리라 하고, 정읍군 태인면에 편입되었다.
『정읍군지(1936)』에 따르면 오봉리(五峯里)는 천오리(川五里), 천신(川新里), 하일리(下一里), 청석동(靑石洞)으로 되어있다.1)
현재의 분리는 원오봉(元五峰)마을, 청석(靑石)마을, 천신(川新)마을, 천오(川五)마을, 청학(靑鶴)마을로 나누어져 있다.
인구현황 | ||||
기준 |
호수(戶數) |
남자 |
여자 |
계 |
1972.12. 31. 2) |
215 |
674 |
641 |
1,315 |
가. 지명 소개
곰말 – 쌍구촌 가까이에 있는 마을.
곰말방죽 – 곰말 앞에 있는 방죽
땀때기 새암 - 청석동 서북쪽에 있는 샘.
복부등 - 천오 서남쪽에 있는 등성이.
삼형제바우 - 곰말 방죽 동쪽에 있는 바우. 세 개가 나란히 있음.
쌍구촌 - 천오 서쪽에 있는 마을.
쌍구촌 방죽 - 쌍구촌 앞에 있는 방죽.
애깃들 – 천오 서북쪽에 있는 들.
연방죽 – 영석골 앞에 있는 방죽 터.
영속골 – 왼수개재 남쪽에 있는 골짜기.
옥천사(玉泉寺) – 청석동 동남쪽에 있는 절. 근처에 옥같이 깨끗하고 시원한 물이 바위틈에서 나오는 약수터가 있음.
왼수개재 - 천오에서 청석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요강(공)보(鐃杠洑)3)
작은 청석골 – 청석동 옆에 있는 작은 마을.
정자나무 – 천오 북쪽에 있는 느티나무. 둘레 3아름.
청석보(靑石洑)4)
훈련답 – 애깃들에 있는 논. 전에 훈련장이었음.
나. 마을 소개
(1) 원오봉(元五峰) 마을
원오봉마을 청석동 북쪽에 있는 마을로 뒤로 다섯 개의 산봉우리가 둘러있어 오봉이라 하며, 일본인(日本人)들이 맨 처음 터를 잡은 마을로 처음에는 세가호뜸(3家戶)이라고 하다가 하일리(下一里)로, 지금은 원오봉이라고 한다.
오봉산(五峰山)은 오봉마을의 서북쪽에 있는 산으로 풍수가들은 이 근처에 오봉복부혈(五峰覆釜穴)이 있다고 한다. 오봉이라는 이름도 여기에 유래 하였다고 한다.
상두산(象頭山)에서 뻗어내린 천아산(天娥山)의 여맥(餘脈)이 다섯 개의 봉우리(五峰)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면 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2.5km 지점으로 순농사를 하며 가구수는 55가구, 세대수는 58세대, 인구는 151명(남자-70, 여자-81), 경지면적은 43.9ha(밭-7.6, 논-36.3)이다.(2002년 12월 30일 기준)
(2) 청석(靑石) 마을
청석마을은 속칭 '청석골'이 오봉리 동쪽에 있는 마을로 공교롭게도 이 마을의 뒤 등성이에는 파란 색깔의 바위가 나타나 있으니 이로 인해서 마을 이름이 청석으로 되었다 한다.
마을의 동남쪽에 옥천사(玉泉寺)가 있다.
면 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3km 지점으로 순농사를 하며 가구수는 21가구, 세대수는 21세대, 인구는 46명(남자-23, 여자-23), 경지면적은 15.6ha(밭-3.4, 논-12.2)이다.(2002년 12월 30일 기준)
(3) 천신(天新) 마을
천신마을은 천오 동북쪽에 새로 생긴 마을이며, 이 마을은 「내거멀」의 「새터」라는 뜻으로써 불리는 이름이다.
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4km 지점으로 농사만을 하며 가구수는 42가구, 세대수는 43세대, 인구는 133명(남자-63, 여자-70), 경지면적은 61.3ha(밭-8.5, 논-52.8)이다.(2002년 12월 30일 기준)
(4) 천오(川五) 마을
천오마을은 마을 앞으로 냇물이 흐른다 하여 천오(川五)마을이라 하는데, 옛 이름은 냇물 위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냇갯멀이라고도 한다. 속칭 내개멀, 냇가말이라고도 하니 냇가의 마을이란 뜻이다. 멀은 마을의 준말이다. 「내간말」,「냇갓말」,「냇개말」 또는 「내거멀」이라고도 하는 냇가의 마을이란 뜻이다. 「멀」은 마을의 준말이다.
촌로들은 오봉복부(五峯伏釜)가 이 마을에 있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마을 위에 작은 고을이 있는데, 그 형국이 꾀꼬리가 알을 품은 것 같다고 하여 꾀꼬리앵(鶯)자를 넣어 「앵솟골」이라 하고, 그 산 고개를 앵솟재라 한다.
뒷산은 범이 숲속을 들고 나는 형국이라고 하여 호산(虎山)이라 하며, 앞산은 개(犬)가 새끼를 품고 있는 형국이라 하여 구산(狗山)이라 한다.
면 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4km 지점으로 순농사를 하며 가구수는 21가구, 세대수는 21세대, 인구는 61명(남자-30, 여자-31), 경지면적은 19.3ha(밭-5.4, 논-13.9)이다.(2002년 12월 30일 기준)
(5) 청학(靑鶴) 마을
청학마을은 속칭 하일리(下一里)라 하고 「아래동네, 아래뜸」으로 불리우고 있으니, 청석동(靑石洞)의 아래에 있다는 데에서 불리워진 이름이다. 근래에 와서 청학(靑鶴)으로 개칭되었다.
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1km 지점으로 순농사를 하며 가구수는 46가구, 세대수는 48세대, 인구는 173명(남자-80, 여자-95), 경지면적은 25.2ha(밭-3.2, 논-23.0)이다.(2002년 12월 30일 기준)
--------------------------------------
1) 張奉善, 『井邑郡誌』(정읍문화원, 1936. 11. 20.), 78.
2) 최현식편, 『增補 井邑郡誌』(정읍문화원, 1974. 3.), 50.
3) 張奉善, 앞의 책, 78.
4) 張奉善, 앞의 책, 78.
'제5편 경제사회(삶의 틀) > 태인의 마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인면 박산리(朴山里) (0) | 2018.03.27 |
---|---|
태인면 오류리(五柳里) (0) | 2018.03.27 |
태인면 증산리(甑山里) (0) | 2018.03.27 |
태인면 태남리(泰南里) (0) | 2018.03.27 |
태인면 태서리(泰西里) (0) | 201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