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지리(삶의터전)/제4장 태인 동진강의 동식물

제 2절 동진강의 식물상(植物相)과 식생(植生)

증보 태인지 2018. 1. 18. 21:21

2절 동진강의 식물상(植物相)과 식생(植生)1)

 

   하천에서의 식물상과 식생은 하천생태계가 갖는 먹이사슬의 가장 근본이 되며, 수많은 동물들의 산란장소 및 은신처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물의 흐름을 조절하고,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서식처는 하천의 형태와 식생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있다. 현재 대부분 하천에서는 도시의 확대와 보의 건설로 인하여 유량과 유속의 변화가 가속화되어 하천의 자연스러운 흐름이 제약받고 있으며, 특히 오염된 오수들의 유입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 오수의 유입은 토양오염을 기중시켜 하천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나아가서는 생물의 서식환경을 위협하고 있어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하천에서의 생물의 서식환경은 주로 하천의 형태 및 수질, 수심, 유속 등의 물리화학적 요소들과 식생의 생물학적 요소에 의하여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하천식물상과 식생은 하천생태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수중식생은 오염물질 제거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용해성 오염물질 특히 영양물질은 식물성 플랑크톤과 수생대형식물에 의한 생물학적 대사를 통해 제거된다. 또한 수증식물은 습지 내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에게 유용한 영양물질의 양올 제한시킴으로써 조류의 증식을 막는데 도움을 주며, 유기물이 풍부한 습지는 박테리아균이 유기물질과 영양물질을 대사하여 영양물질올 제거시키는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준다.

   하천환경의 질은 하천식물군락의 종 조성이 기본이 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식물사회학적 분석을 통하여 평가될 수 있으며, 하천식생의 복원, 복구 및 경관예측을 위하여 식생에 관한 지료로부터 잠재자연 능력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동진강은 대부분이 하천개수사업에 의하여 치수위주로 정비되어 하천대부분이 인공하천의 유형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 지역 일대 본래의 하천 식생 및 식물은 심한 변화를 겪어왔다.

 

1. 식물상

   동진강에서 관찰되는 관속식물은 7318823833변종 1품종으로 총 272종류가 조사 되었다. 또한 관속식물의 생태 서식지에 따라 구분하면 침수식물이 23, 부엽식물이 7, 부유식물이 2, 정수식물 18, 습생식물이 53중 수변식물이 168종이었으며, 수생식물과 습생식물은 가각 50종과 53종류로 전체 조사된 272종류 중 37.9%를 차지하였다.

   식물생활형을 나타낸 표로, 휴면형 1년생 식물이 9735.7%, 수생식물이 7828.7%, 반지중식물이 4115.1%, 지중식물이 228.l%, 지표식물이 124.4%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식물의 생활형의 분포비율을 조사함으로서 식물군락에서 종 조성뿐만 아니라 환경요소에 대한 군집의 반응 또는 공간의 사용, 군락 내에서의 가능한 경쟁관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식생분포 양상을 보면 동진강 조사지역 중 가장 상류에 해당하는 지역(동진강 상류인 칠보 유역)으로서 비교적 수질이 양호하고 유속이 빠르며 수심이 얕은 하천으로 총 161종의 식생이 조사되었다.

   정읍천 동진강 본류가 합류된 신태인 유역은 신태인교 일대의 하천으로, 인위적으로 조성된 인공 직강 하천으로서 제방과 제발을 사이에 두고 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로의 가장자리는 11.5 m로서 수심이 깊고 하안의 지형이 단조로워 침수식물 부엽식물 등의 수생식물은 거의 분포하지 않았다. 수생 정수식물인 갈대, 줄 등이 제방과 수변사이에서 제방을 따라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관찰된 식물은 총 54종이었다.

   동진강 만석대교 일대 하천식생의 특징은 크게 2종류를 보이고 있었다. 하천 유역이 인위적으로 조성된 지역의 식생과 경작지로 활용되지 않는 고수부지의 함몰된 지역에서 나타난 하천식생이다. 이 지역에서 조사된 식생은 습생식물 33종 등 총 188종이 조사되었다. 고부천 팔왕교 일대의 하안은 대부분이 시멘트 블록화 되어 하안식생의 발달을 심하게 교란시키고 있어 식생이 단조롭고 식물군락의 다양성이 낮은 상태였다. 이 지역의 하천식생은 정수식물이 6, 습생식물이24, 수변식물이 97층으로 총 131종류가 관찰되었다. 원평천 죽산교 일대 하천의 식생은 주로 인위적인 직강하천의 하안과 고수부지 상에 형성된 경작지 사이에서 주로 식물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침수식물이 8, 추수식물이 14, 습생식물이 37, 수변식물이 118종으로 총 117종류의 식생이 조사되었다.

   동진강 제수문 일대 하천의 유형은 전형적인 인공직강 하천으로 인위적 교란이 매우 심한 곳이었다. 이곳의 식생은 수생 및 습생식물의 다양성이 매우 낮은 단순한 식생의 특징을 보이고 있었으며, 침수식물이 4, 습생식물이 21종 등 총 117종류의 식생이 관찰되었다.

   하천식생의 유형과 하천식생의 다양성은 수질정화, 생물 서식공간으로서의 하천 생태적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그러한 생태적 기능의 다양성 정도는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하천에서의 식생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2. 식물군락 분류

 

 1) 동진강 상류 유역

 

   동진강 상류유역은 칠보천 고현교 주변 일대로 비교적 수질이 양호하고 유속이 빠르며 수심이 얕은 하천으로 이 지역 일대의 식물군락은 총 8개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들 중 수생식물군락은 검정말군락, 검정말-실말군락, 붕어마름군락, 달뿌리풀군락, 고마리군락, 큰횡새냉이군락, 여뀌군락으로 하천식생의 전반적인 우점종은 고마리이며, 고마리군락의 배후에는 달뿌리풀군락이 분포하고 있었다. 식물의 종이 비교적 다양하며, 수생침수식물들인 말즘, 검정말 애기가래, 실말, 붕어미름 등이 자라고 있었으며, 붕어마름과 검정말이 다른 침수식물들에 비해 높은 우점도와 분포역이 넓었다. 만곡이 된 수변에는 큰황새냉이가 침수식물과 인접해 있으며 배후에는 고마리군락 달뿌리풀군락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한편 이 지역 일대의 나대지 및 경작지 부근에서는 쑥, 미국가막사리, 싸리, 비수리 등의 나대지식생의 초기 천이단계 식물들이 주로 분포하였고, 보 주변은 물의 흐름이 정체되어 줄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하안이 만곡이 된 곳에서는 침수식물이 우점하고 있었으며, 침수식물이 우점하는 곳의 하상의 토양은 자갈과 모래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안의 수변식생은 고마리, 달뿌리풀이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부의 고마리군락은 저니토층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2) 동진강 중류 유역

 

   동진강 중류 유역은 신태인교 일대로 인위적으로 조성된 인공 직강 하천이다 제방과 제방을 사이에 두고 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로의 가장자리는 수심이 깊고 하안의 지형이 단조로워 침수식물 부엽식물 등의 수생식물은 거의 분포하지 않았다. 수생추수식물인 갈대, 줄등이 제방과 수변사이에서 제방을 따라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갈대와 줄 군락 사이에서는 귀화식물인 털물 참새피가 군락을 이루고 있었으며 배후에는 고마리 등이 긴 횡렬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이 지역 일대의 하천 식생은 종이나 식물군락은 다양하지 않았으며 하천의 폭도 비교적 좁아 수생식물인 줄과 갈대군락, 그리고 수변식물군락으로 고마리군락, 교란지식생인 환삼덩굴군락 등 총 4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이 지역의 현존식생도는 비교적 종 및 군락이 단순한 식생유형을 나타내고 있었다.

 

 3) 동진강 하류 유역

 

   이 지역은 동진강 제수문 일대로 하천유형은 전형적인 직강하천의 인공하천으로 인위적 교란이 매우 심한 곳이었다. 이곳은 식생형성이 어려운 옹벽, 시멘트 블록 등으로 조성되어 있고, 경작지가 바로 이어져 있어 수생 및 습생식물의 다양성이 매우 낮은 단순한 식생의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본류로 유입되는 하천의 지류 및 농수로의 경우 본류보다 비교적 다양한 식물군락과 종구성(種構成)2)을 나타냈다. 제방을 경계로 하여 하천 유역을 벗어난 농경지 농수로의 경우 물옥잠, 자리풀등 많은 수생 및 습생식물들이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곳의 하천식생은 자리풀군락, 붕어미름군락, 마름군락, 줄군락, 갈대군락의 5개 습생식물군락과 털물침재피군락, 고마리군락의 2개 습생식물군락, 새콩 등의 나대지 식물군락 등 총 8개 식물군락이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지역 일대의 하천 식생은 대부분이 경작지와 본류의 하안 사이의 매우 폭이 좁은 나대지 및 하얀 농수로 지류에서 식물들이 소규모의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하천생태계를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하천유역 연안대의 광범위한 생태적 기능을 담당하는 다양한 식물군락의 복원이 가장 중요한 일이며, 이들 식물군락의 복원은 현존하는 하천식생의 조사와 정확한 진단을 통하여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식생공간분포에 대한 체계적인 식물군락 분류는 하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우며, 획득된 식생학적 정보는 복원생태학적 정보로 활용된다. 따라서 식물상 및 식생조사는 이러한 건전한 하천생태복원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며 주기적인 하천식생 변화를 관찰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