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편 역사(삶의 내력)/제7장 근대와 태인

제 3절 일제강점기 태인 지역의 교육과 사회․경제 생활

증보 태인지 2018. 2. 9. 10:00

3절 일제강점기 태인 지역의 교육과 사회경제 생활

 

   일제강점기에 민족 사회운동에 큰 영향을 미친 요소 중의 하나가 교육이었다. 태인 지역의 민족사회 운동을 주도한 청년들이 재학생들이거나 졸업하여 태인 31운동에 주역이 되었다는 것이다.

   1907년 태인군 군내면(郡內面) 칠리(七里)의 향교 부속 건물에 사립(私立) 인명학교(仁明學校)와 같은 해 송영권(宋泳權)이 사립(私立) 인성학교(仁成學校)를 설립1)되었다. 인명학교(仁明學校)1911630일 태인공립보통학교(泰仁公立普通學校)로 인가(認可)되었고 같은 해 915일에 수업을 시작하여 25일에 개교식을 행하였으며, 121일에는 태성리(泰成里)에 있는 태인동헌(泰仁東軒)으로 이전하였고, 1회 졸업생 9명을 배출하였다. 입학은 8세에 해당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4년제였다가 제2차 조선교육령(朝鮮敎育令, 植民地敎育政策, 19221938) 개정 이후, 1922년에는 5월에 학년(學年) 연장(延長)이 되어 수업 연한이 6년으로 바뀌게 되어 6세부터 입학할 수 있도록 하여 재학생수가 남학생이 292, 여학생이 64명이 되었다. 1923년에 교사(校舍)를 건축(建築)하였다. 당시의 교사(校舍)는 건평(建坪) 182(), 부지(敷地) 1,221(), 훈도(訓導) 6(, 한국인 4, 일본인 2)이었다.

   19343월에 태인공립보통학교(泰仁公立普通學校) 부설(附設) 태남간이학교(泰南簡易學校)가 태서리(泰西里), 신태인공립보통학교(新泰仁公立普通學校) 부설(附設) 궁사간이학교(弓四簡易學校)가 궁사리(弓四里)에 설립인가를 받아 개교(開校)하였다.

   지방리개량단체(地方里改良團體)는 농촌진흥회(農村振興會) 4, 근농공제조합(勤農共濟組合) 3, 청년단(靑年團) 4, 부인단(婦人團) 4, 비황저축조합(備荒貯蓄組合) 4, 위생모범부락(衛生模範部落) 2, 면직원(面職員)은 면장(面長) 1, 서기(書記) 7, 기수(技手) 1, 구장(區長) 15, 면협의원(面協議員) 12(한국인 9, 일본인 3), 38

   태인청년회는 1920627일 오후 1시 태인공립보통학교(泰仁公立普通學校)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시재옥(柴在鈺), 김진영(金鎭永), 송영근(宋榮根), 송직상(宋直相), 김대곤(金大坤), 정방모(鄭邦謨)등2) 100여 명의 회원이 모인 가운데, 임시의장 송직상(宋直相)의 개회사와 취지 설명이 있은 후 순서에 의하여 회칙을 통과시키고 내빈 측에서 병송(竝松) 보통학교장의 축사가 있었다. 송직상의 이문회우(以文會友)’, 김진영의 우리의 진로(進路)’, 송영근의 성심성력(誠心誠力)’이라는 연제(演題)로 열렬한 변론이 있었고, 무기명식 투표로 정식임원을 선정하니 회장에 정방모, 부회장에 송직상, 총무에 김진수가 선임되었으며, 회관은 우선 신축하기 전에 김진영이 자기소유 집을 20년간 제공하기로 하였으며 당일 성금만 1,013원이 모아졌다.3)

   이는 당시로서는 대단히 큰 액수였으며 그만큼 청년회에 참여한 인사들의 경제력이 탄탄했음을 말해준다. 1920년 원산에서의 노동자의 하루 임금이 조선인은 1340전이었으며 일본인은 1670전이었다. 이것도 경기 침체로 임금이 점차 하락하고 있었다는 점을 생각할 때 1,063원은 실로 거액이 아닐 수 없다.4)

 

<그림 7-4> 태인청년회 창립회 기사(동아일보192072)

 

   그러나 태인청년회는 창립총회를 개최한 지 불과 한 달 만인 192082일에 임시총회를 다시 열어 조직과 회칙을 변경하고 창립총회에서 결정된 임원을 모두 개선하게 된다. 태인 청년회가 갑작스럽게 이러한 태도를 취하게 된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알 수 없지만, 이 임시총회에서는 초대회장이었던 정방모가 물러나고 시재옥이 새로운 회장으로 부임하게 된다. 이러한 사정은 다음 기사에 잘 나타나 있다.

   태인청년회에서는 82일 오후에 임시총회를 태인공립보통학교에서 개최하였다. 순서에 의하여 회장 정방모의 개회사가 있은 후 본회 조직을 변경하여 회칙을 개정하고 임원 전부를 개선하였는데, 피선된 사람은 회장 시재옥, 부회장 김진영, 총무 송영근, 의사부장 송직상, 지육부장 겸 편집부장 김문모(金文謨), 덕육부장 김대곤, 체육부장 정방모, 사교부장 임창주(林暢周) 등이었다. 이어서 본회 유지방책에 대하여 상호토의가 있었고, 김대곤의 덕윤(德育)의 필요성(必要性)’, 송직상의 지식(智識)은 인생(人生)의 생사(生死)와 같다.’ 김진영의 우리는 이 사회(社會)의 사공이 됩시다.’ 등의 열렬한 웅변도 있었는데, 시각은 오후 10시 경이었다.5)

   창립총회와 제1회 임시총회에서 선발된 임원들은 1922년까지 태인청년회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1922년 이후로는 송건상(宋建相), 시재옥, 박창관(朴昌琯), 송원봉(宋元奉), 송헌상(宋憲相), 김동현(金東賢) 등이 새 임원으로 활동하게 된다.6)

   이들 중 그 당시 행적이 확인되는 자들에 대해 적어보면, 우선 정방모는 1916년부터 1924년까지 만 8년간 태인공립보통학교 부훈도 및 훈도로 재직하였으며 이후 순창군의 금과공립보통학교로 자리를 옮긴다. 그러니까 그는 당시 교사의 신분으로 있으면서 태인 청년회 회장을 역임한 셈이었다. 그리고 송근상은 태인의 31운동을 주도하다가 옥고를 치른 자였으며, 김대곤(1922년부터 1932년까지 감곡면장 역임, 조선총독부 직원록, 1952)과 임창주(1934년부터 1939년까지 태인 면장 역임, 조선총독부 직원록, 1952)는 당시 관료였다고 생각된다. 이처럼 태인 청년회의 창립 과정에 교사, 사회운동가, 관료 등 다양한 성향을 지닌 인물들이 참여하였는데, 이러한 총회의 내용과 조직구성, 위의 강연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태인청년회는 지역의 유지들로 구성된 사회단체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운동단체로 보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와 같이 청년운동 초기에는 대부분 청년 자신의 수양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다만, 태인청년회 제10회 정기총회에서 유학생 환영 강연 개최와 몰핀 환자 박멸을 위한 박멸대를 조직하여 실행위원까지 선정한 점, 1927225일부터 부녀자들을 상대로 야학을 개최한 점 등은 이전보다 진전된 활동이라 할 수 있다.7)

 

<그림 7-4> 태인샛별소년 창립회 기사(동아일보1926925)

 

   1926925일 동아일보 기사를 보면, 태인샛별소년회가 창립되었다. 태인읍내에는 어린이 김진귀(金鎭龜), 송영규(宋映圭) 등의 발기로 샛별소년회를 창립하고자 그동안 준비에 노력하여 지난 109시에 당시청년회관 하층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선언강령과 규약 통과를 마치고 위원선거를 하고 입회한 회원이 30여 명이었다.(위원장 김진귀, 서무부장 장동식, 교양부 최기섭, 체육부 송영귀)8)

 

   『정읍군지(1936)』9)에 따르면 태인면(泰仁面)

 

토지 현황(土地現況)

()

()

대지()

임야(林野)

기타(其他)

()

1,708()

612()

75()

1,122()

94()

3,611()

 

산업(産業) 현황(現況)

농 업(農 業)

곡물(穀物)

()

보리()

콩류(豆類)

잡곡(雜穀)

17,930()

5,220()

1,440()

320()

24,880()

특용작물

(特用作物)

목화()

모시(苧麻)

특산물

(特産物)

감자(甘藷)

북감자

(馬鈴薯)

()

74,400()

730()

태인시장(泰仁市場)1년간(一年間) 매매고(賣買高)

농산물

(農産物)

수산물

(水産物)

직물(織物)

축류(畜類)

기타잡품

(其他雜品)

()

2,655()

1,730()

8,290()

13,680()

2,985()

29,340()

 

   교통(交通)은 경목선(京木線) 1등도로(一等道路) 1(一里) 12(十二町) 30(三十間)은 태인시장(泰仁市場)의 중앙(中央)을 남북(南北)으로 관통(貫通)하여 정주(井州), 전주간(全州間) 자동차(自動車)의 편(便)이 있다. 태인(泰仁), 부안선(扶安線) 3등도로(三等道路) 9(九町)을 태인시가(泰仁市街)를 기점(起點)으로 하여 면()의 중앙(中央)을 동서(東西)로 관통(貫通)하였으니 신태인(新泰仁), 부안(扶安)간 자동차(自動車)의 편(便)이 있다. 태인(泰仁) 갈담선(葛潭線) 삼등도로(三等道路) 9(九町)은 태인시가(泰仁市街)를 기점(起點)으로 하여 면()의 동부(東部)를 동서(東西)로 관통(貫通)하였으니 신태인(新泰仁), 갈담간(葛潭間) 자동차(自動車)의 편(便)이 있다.

   통신(通信)은 태인우편소(泰仁郵便所)가 태성리(泰成里)에 소재(所在)하여 소할구역(所轄區域, 管轄區域)은 태인(泰仁), 옹동(瓮東), 칠보(七寶), 산내(山內), 산외(山外) 각면(各面)이었고 소할구역(所轄線路, 管轄線路)은 태인(泰仁) 신태인간(新泰仁間) 자동차(自動車)의 편(便)에 의()하여 철도편(鐵道便)에 직접(直接) 수도(受渡)하였다.

   재정(財政)은 공과금(公課金)에 해당하는 국세(國稅)18,852(), 도세(道稅) (便) 15,024(), 면세(面稅) 11,130(), 학교비(學校費) 2,345()으로 모두 47,351()이었고 면() 예산(豫算) 15,426(), () 기본재산(基本財産) 11,296()이었다.

   금융기관(金融機關)1909년에 태인 조합이 설립되었고 다음해인 1910년에 태성리(泰成里)에 소재(所在)하는 태인금융조합(泰仁金融組合)이 원태인군(元泰仁郡) 일원(一圓, 泰仁, 瓮東, 北面 一部寶林里, 馬亭里)을 소할구역(所轄區域)으로 설립되었고 조합원 266명으로 정부에서 받은 10,000원을 기금으로 하였으며, 대부금은 8구좌에 380원으로 농업자금으로 사용하였다. 이 당시 태인 금융조합 상황을 보면 관할구역 3개면에 3,909세대, 조합원 777, 출자금 14,110, 적립금 22,978, 차입금 135,000, 대출금 198,825원 예금 24,068원으로 성장했다.

   태인에는 19149월 총동부령 제136, 시장규칙에 의하여 공설 제1호인 재래시장 또는 보통시장으로, 태인면 태흥리에 태인시(泰仁市)10)라는 시장이 설치되었다. 개시일(開市日)5일과 10일 이었고 우체국도 설치되었다. 이로 보아서 구() 생활권을 중심으로 학교가 설립되고 시장, 금융기관이 설치되었으며, 사회운동 단체가 조직되었음을 알 수 있다.

 

<> 1938년의 태인지역 정기시장11)

시장명

소재지

개시일

연 거래액()

태인

정읍군 태인면

5, 10

222,820

용두

정읍군 산외면

2, 7

46,410

능교

정읍군 산내면

4, 9

3,853

고현내

정읍군 칠보면

3, 8

8,304

화호

정읍군 화호리면

1, 6

22,450

상삼

정읍군 신태인면

3, 8

319,700

 

   1927715일자의 조선일보의 기사 내용을 보면, 전북 태인 동진수리조합 공사 노동자 수천 명이 청부업인 중촌조(中村組)에서 임금 16천여 원을 지불하지 않음에 항의하여 중촌조와 충돌하여 주재소의 알선으로 임금 지불이 이루어져 해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1929130일에 태인평야(泰仁平野) 지주들이 동양수리조합(東洋水利組合) 구역에 편입되어 조합비 부담하게 되자 불납동맹 체결하고 도() 당국(當局)에 진정서를 제출했다는 기사가 있다.12)

<그림 7-5> 당시 동진수리조합 전경

 

-------------------------------------------------------------------------------------------

1) 張奉善, 井邑郡誌(정읍문화원, 1936. 11. 20.), 345.

2) 19200627鄭邦模 , 태인에 청년회 조직. 원호처 독립운동사, 961.

3) 동아일보(192072)

4) 동아일보(192066)

5) 동아일보(192086)

6) 동아일보(1922811)

7) 동아일보(1926. 8. 15.)

8) 일제침략36년사 8, 252.동아일보(1926. 9. 25.)

9) 張奉善, 井邑郡誌(정읍문화원, 1936. 11. 20.), 139142.

10) 태인읍내시장(泰仁邑內市場) 또는 태인시장(泰仁市場). 매월 5, 10(6) 개시.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태흥리 소재. 1909년 자료를 제외한 동국문헌비고부터 1976년까지의 자료에서 개설을 확인할 수 있음. 1915년 조사에 서는 태인면 태흥리와 태성리에서 시장이 개설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음. 東國文獻備考, 1770 ; 徐有榘, 林 園經濟志, 19세기 초 ; 朝鮮總督府, 朝鮮地誌資料, 1919; 京城商工會議所, 朝鮮ける市場取引現況> ≪朝鮮經濟雜誌165, 19299; 京城商工會議所, 朝鮮ける市場取引現況> ≪經濟月報275, 276, 1938 12, 19391; 金成勳 外, 韓國農村市場制度機能硏究, 國立農業經濟硏究所, 1977년 재인용.

11) 1938년 부군별로 정리한 정지시장. 전라북도, 전북학연구논문집 상공업분야(전북학 연구총서)(2015.09.15.), 160.

12) 동아일보(1929. 2. 3.), 일제침략36년사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