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편 경제사회(삶의 틀)/태인의 마을

잊혀진 옛 태인 마을

증보 태인지 2018. 3. 27. 10:23

태인면 백산리(栢山里)

 

   백산리 는 백제시대 빈굴현(賓窟縣), 고려시대 인의현(仁義縣)의 고을터로 역사가 깊은 고장이다. 지금은 인의현 고성지(仁義縣 古城址, 栢山城址)와 향교지(鄕校址, 향교골).옥지(獄址, 옥터)가 남아있다. 백산이란 명호(名號)의 유래는 대개 두 가지로 해석하고 있다. 속칭 잔매(盃山) 잣매(栢山) 잣매로 불리우니 전 자는 산의 모양이 평야지에 위치하여 잔을 엎어놓은 형이다 하여 잔매((盃山) 라 칭하여 후자는 산에 잣나무()가 많이 있어 불리워진것이라 하는데 오히려 전자의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한다. 말하자면 잔매(盃山)가 잣매(栢山)로 변전(變轉)하여 한자음(漢字音)으로 백산(栢山)이 된 것이 아닐까 한다. 본래(本來) 태인군 군내면 지역으로서, 19143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군내면(郡內面)의 장동, 원동(元洞)의 각 일부(一部)와 인곡면(仁谷面)의 이암리(耳巖里) , 장수동(長水洞)의 각 일부(一部)와 북촌면(北村面)의 일리(一里) 각 일부(一部)를 병합하여 백산리라 해서 정읍군 태인면에 편입되었다.

   『정읍군지(1936)에 따르면 백산리(栢山里)는 백산리(栢山里), 마동(馬洞), 이암리(耳巖里), 장수동(長水洞)으로 되어있다.

   현재의 분리는 마동(馬洞), 원백산(元栢山), 이암(耳岩), 장수(長水), 황산(黃山), 후생촌(厚生村), 이교(二橋)로 나누어져 있다.

   마은동(馬隱洞, 一名 長洞.馬洞)과 마초동(馬草洞, 馬洞)이 있었는데 지금은 폐촌되고 말았다.

   마동의 유래에 대한 촌로들의 견해는 인의현 시대에 마구(馬廐)가 있었던 곳이라고하며 또는 지형이 말(馬)의 형국과 흡사하다는 등의 설이 있으나 1914당시에 마동(馬洞)이란 동명(洞名)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근래에 와서 불리워 진 이름이 아닌가 한다.

   이암은 마을의 뒤 등성이에 있는 2개의 바위를 귀 바위라 일컬어 온데서 비롯하여 이암(耳岩)으로 표기하고 통칭 귀야 로 발음하고 있다.

   원백산(元栢山)은 통칭 잣매 로 불리우고 있으니 인의현(仁義縣)시대에 관아가 있었던 곳이 아닌가한다. 향교골(鄕校)과 북편에는 옥터(獄址)가 있다.

   옛날의 일리는 지금 두다리목(二橋里)이라 불리우는 곳이니 두다리목 이란 용호천 (龍虎川, 黃雲堤)과 박산천에 놓여있는 두 개의 교량(二橋)을 가리키는 말이다.

   황산(黃山)은 통칭 노랑산 또는 노양산(老羊山)이라도도 표기하나 황산의 훈음(訓音)인 노랑산으로 짐작된다.

   후생촌(厚生村)은 8.15해방후 형성된 마을이다.

   최근 교동제 안에 두무다리로 불리우는 몇호 안되는 마을이 있다. 두무다리 는 옛날에 있었던 조그마한 마을이었다.

   1983215일 대통령령 제11027(1983.1.10.공포)로 태인면 박산리가 신태인읍으로 편입되었다.

 

 

   백산(栢山)

   인의성산(仁義城山), 배산(盃山)이라고 했으며 백산리에 있는 산(109m)이다. 증보정읍군지(1974)에 고려시대 인의현(仁義縣)의 주산으로 소개되어 있는데, 인의현은 1409(태종 9) 태산군(太山郡, 泰山郡)과 합쳐저 태인현이 된 지역이다.

(지도)

   옛날부터 질 좋은 석대 산지로 유명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태인)죽전(竹箭)숫돌[礪石]은 모두 인의성산( )에서 난다.”라고 하는 기록이 있다. 인의성산(仁義城山)은 배산(盃山)과 더불어 백산을 달리 부르던 명칭이라고 한다. 호구총수(태인)에 인곡면에 백산리(栢山里)’가 기재되어 있어 그 이전부터 백산지명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대동지지백산은 북쪽 10리에 있다.”라는 기록이 있으며, 1872년지방지도에 읍치 북서쪽이며, 과학산과 천연산 사이의 산으로 묘사되어 있다.

 

 

 

 

태인면 장학리(長鶴里)

 

 

   장학리(長鶴里, 북면으로 편입) 1914년 당시의 분리는 장재리(長才里), 석만리(石萬里), 영춘리(永春里), 여정리(呂丁里), 산정리(山亭里), 석거리(石巨里), 연동리(連洞里), 화복리(化福里), 성학리(上學里), 사포리(沙浦里), 사거리(四巨里), 원두리(元斗里), 주산리(舟山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