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편 경제사회(삶의 틀)/태인의 마을

태인면 태성리(泰成里)

증보 태인지 2018. 3. 27. 10:52

태인면 태성리(泰成里)

 

 

 

   태인면의 중심지에 자리잡은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본래(本來) 태인군 군내면(郡內面) 지역인데, 태인현(泰仁縣)의 관아(官牙)와 향교(鄕校)가 자리 잡고 있었던 군내면(郡內面)의 중심지였다. 1911년 태인국민학교가 설치되고 현재는 태인 동헌(泰仁東軒 : 地方文化財 有形 第75)과 입구의 유각교(留脚橋)가 남아 있을 뿐이다.

   19143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군내면(郡內面)의 사창리(社倉里), 사리(四里), 육리(六里), 칠리(七里), 십리(十里), 십일리(十一里, 郡內面)를 병합하여, 이곳에 태인향교 대성전(大成殿)이 있기 때문에 태성리라 하고, 정읍군 태인면에 편입되었다.

   『정읍군지(1936)에 따르면 태성리(泰成里)는 상일리(上一里), 하일리(下一里), 사창리(社倉里), 칠리(七里), 십리(十里), 십일리(十一里, 郡內面)로 되어있다.

   현재의 분리는 옥하, 칠리, 향교로 나누어져 있다.1)

   특산물로는 사과가 있다.

 

인구현황

기준

호수(戶數)

남자

여자

1972.12. 31. 2)

325

929

907

1,836

 

. 지명 소개

   공동묘지1 - 사창 북쪽에 있는 묘지.

   공동묘지2 - 향교 서쪽에 있는 묘지.

   당산나무1 - 사창 뒤쪽이 있는 느티나무. 둘레가 세 아름.

   당산나무2 - 향교안에 있는 팽나무. 둘레가 3-4 아름.

   대성전(大成殿) - 태인 향교 대성전으로 전북 문화재자료 제 75.

   도리뫼 삼거리 남쪽에 있는 산. 모양이 도리처럼 생겼다 함.

   동헌(東軒) - 옛 태인현의 동헌.

   만화루(萬化樓) - 향교에 속한 남쪽에 있는 정자. 조선조 영조(英祖)의 모친 최씨 또는 단종비 정순황후 송씨가 이 고장에서 출생하였으므로 건립하였다 함. 전북 유형문화재 제 121

   빗경이재 - 사창 북쪽에서 고천리, 왕림으로 넘어가는 고개.

   빗경이재약수터 - 빗경이재 밑에 있는 약물터. 이 곳에서 공을 들이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 함.

   삼거리 - 하마거리라고도 하며, 향교 서남쪽에 있는 터. 전에 모든 사람들이 말에서 내렸다 함.

   삼락정(三樂亭) - 성황산 중허리에 있는 정자로 박영오(朴泳午)가 건립하였음.

   새장터 삼거리 남쪽에 있는 시장. 5, 10, 15, 20일에 장이 서고 있음.

   성황당터(城隍堂) - 성황산 봉오리에 있는 성황당 터.

   성황산(城隍山) - 향교 뒤쪽에 있는 산으로, 성황신을 모신 산이었는데, 산봉우리에 있는 당집은 1894년 동학농민운동 때 소실되었고, 성황당터만 남아있다.

   아랫재 - 향교 서쪽에서 오봉리 청석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옥천사(玉泉寺) - 성황산 서북쪽 기슭에 있는 절. 옹동면 상산리에서 옮겨 왔다 함.

   청녕헌(淸寧軒) - 사창 남쪽에 있는 동헌으로 조선 중종 때에 목수 박진(朴鎭)이 전주 선화당(宣化堂)을 본떠지었다고 한다.

   태성교(泰成橋) - 향교 남쪽에 있는 다리.

   태인 3.1 운동 기념탑 - 19193122시경 정읍지역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운동을 기념하는 탑이다.

   효우당(孝友堂) - 향교 동쪽에 있는 당 터.

 

. 마을 소개

 

   (1) 옥하(玉下) 마을

 

   옥하마을은 태성리의 중심마을이며, 소재지권 마을로 순 농사와 상업으로 이루어진 곳이다. 이 마을은 옛날 태인현의 옥()이 있었던 곳이니 속칭으로 옥아래라고 한다.

   지금 태인면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도1호선과 국도 30호선이 지나가는 우회도로가 마을의 가운데를 뚫고 지나고 있다.

   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0.1km 지점으로 농업과 상업을 복합으로 하며 가구수는 71가구, 세대수는 74세대, 인구는 222(남자-105, 여자-1117), 경지면적은 13.8ha(-0.8, -13.0)이다.(20021230일 기준)

 

   (2) 칠리(七里) 마을

 

   칠리마을은 옥하 동쪽에 있는 마을로, 면 소재권에 속하며, 행정 동명을 지을 때 일곱 번째의 마을이었다.

   이 마을은 1911년 태인초등학교가 설립되고, 보존되어 있는 태인동헌(東軒)과 그 입구에 있는 유각교(留脚橋)가 지금도 남아 있다.

   사창(社倉)은 향교 동쪽에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에 양곡(糧穀)을 취급했던 기관인 태인(泰仁) 사창(社倉)이 있었던 곳이다. 이 마을에 사창이 있어서 지금도 사창골이라고 불린다.

   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0.1km 지점으로 농업과 상업을 복합으로 하며 가구수는 94가구, 세대수는 96세대, 인구는 273(남자-128, 여자-145), 경지면적은 28.6ha(-17.1, -11.5)이다.(20021230일 기준)

   태인동헌(泰仁東軒, 淸寧軒, 全羅北道 有形文化財 第 75)이 있다.

 

   (3) 향교(鄕校) 마을

 

   향교마을은 소재지권마을로, 지금 이 마을에는 태인향교(泰仁鄕校)가 있으며 이곳을향교골이라고도 한다. 흔히 향교가 있는 마을을 교동(校洞) 명륜동(明倫洞)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0.1km 지점으로 농업과 상업을 복합으로 하며 가구수는 101가구, 세대수는 106세대, 인구는 329(남자-150, 여자-175), 경지면적은 45.9ha(-4.5, -41.4)이다.(20021230일 기준)

   태인향교 만화루(泰仁鄕校 萬化樓, 全羅北道 有形文化財 第121)가 있다.

   태인향교 대성전(泰仁鄕校 大成殿, 全羅北道 文化財資料 第75)이 있다.

   태인 3.1운동 기념탑(泰仁3.1運動記念塔)이 있다.

--------------------------------------------

1) 張奉善, 井邑郡誌(정읍문화원, 1936. 11. 20.), 138.

2) 최현식편, 增補 井邑郡誌(정읍문화원, 1974. 3.),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