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편 경제사회(삶의 틀)/태인의 마을

태인면 태창리(泰昌里)

증보 태인지 2018. 3. 27. 10:41

태인면 태창리(泰昌里)

 

 

 

 

 

   태창리들에 있는 전형적인 농촌마을로 동진강이 흐른다.

   본래(本來) 태인군 군내면(郡內面)지역인데, 19143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군내면(郡內面)의 신기리(新基里), 용정리(龍井里), 청석리(靑石里), 오리(五里), 육리(六里), 십리(十里), 십일리(十一里), 거산리(居山里), 내이리(內二里)와 고부군(古阜郡) 벌말면(伐末面)의 덕촌(德村), 화천리(花川里), 회룡리(回龍里) 각 일부(一部)를 병합하여 더 번창하라는 뜻으로 태창리라 하여, 정읍군 태인면에 편입되었다.

   『정읍군지(1936)에 따르면 태창리(泰昌里)는 신기(新基), 용정(龍井), 육리(六里)로 되어있다.1)

   현재의 분리는 태산(泰山)마을, 기지내(基地內)마을, 샘들내마을, 시기(市基)마을, 용신(龍新)마을, 육리(六里)마을로 나누어져 있다.

   태창리에는 연지와 피향정(披香亭, 寶物289)이 있으며 고대의 교통기관 이었던 태거원(泰居院)이 있고 최숙빈(崔淑嬪)의 설화로 유명한 대각교(大脚橋)가 있다.

   특산물로는 사과가 있다.

 

인구현황

기준

호수(戶數)

남자

여자

1972.12. 31. 2)

352

963

953

1,916

 

 

. 지명 소개

 

   고중바지들 - 냉바지들 옆에 있는 들.

   냉바지들 - 태산 서쪽에 있는 들.

   도리매산(島利山) - 태산 서쪽에 있는 산.

   도토마리산 - 태산 남쪽에 있는 산. 모양이 도토리처럼 생겼음.

   맹무덤산 - 육리 동남쪽에 있는 산.

   벌통배미 태산 남쪽에 있는 논.

   새암모랭이(샘모랭이) - 태산 서북쪽에서 태성리로 돌아가는 모롱이. 샘이 있음.

   서답바우 - 태산 남쪽에 있는 바우. 빨래터가 되었음.

   성씨 열녀문(成氏烈女門) - 태산 중심에 있는 창령 성씨의 정문으로 1902(광무 6)에 세워졌다.

   신중보(新中洑) - 폐지(廢新止)

   양치니고개 - 태산 남쪽에서 옹동면 칠석리로 넘어가는 고개.

   애련교(愛蓮橋) - 피향지 서북쪽에 있는 다리. 길이 5m.

   애련당터(愛蓮堂) - 피향정 북쪽에 있는 애련당터, 피향정 북쪽에 세웠으나, 1885년에 헐리고, 앞의 연못은 메워져 시장이 되었음.

   연당지(蓮塘池) - 피향지

   이춘구묘비(李春九墓碑) - 피향정 옆에 있는 묘비.

   장구배미 벌통배미 옆에 있는 논. 장구처럼 생겼음.

   죽석고개 - 육리에서 태흥리 오리로 넘어가는 고개. 전에 군수가 부임할 때 돗자리를 깔아 놓았다고 함.

   지네새암 - 육기 가운데 있는 샘.

   태인시장(泰仁市場) - 애련당(愛蓮堂) 터에 생긴 장.

   피향정(披香亭) - 태산 중앙에 있는 정자로 신라 말기 정강왕 때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현감으로 봉직하면서 세웠다는 정자인데, 그뒤 고려 현종 때 증축하고, 조선조 인조 때 중수하였는데, 기둥이 33개이고 29평의 웅장한 건물이다. 동서쪽에 못이 있어 연꽃이 만발하면 그 향기가 그윽하다 한다.

   피향지(披香池) - 연당지(蓮塘池)라고도 하며, 피향정 주위에 있는 연못. 연꽃이 많이 피었다 한다.

   함벽루(涵碧樓) - 연당지 옆 길가에 있는 정자로 1918년 김우섭(金禹燮)의 발의로 지었는데, 2층의 정교한 목조건물이며, 2층 건물은 폐손되고 단층으로 중건되었다.

 

. 마을 소개

 

   (1) 태산(泰山) 마을

 

   태산마을은 태창리에서 으뜸가는 마을로 태인의 산을 상징하기 위함이라 한다. 면 소재지에 있으며, 본래(本來) 태인현(泰仁縣)의 고을 터로, 지금은 태창리 다섯 개 마을 중 한 가운데 있는 마을로서, 연지(蓮池)와 피향정(披香亭)이 보물(寶物)로 호남제일정(湖南第一亭)라 하였으니, 태산(泰山)이란 이름은 피향정이 이 마을에 있다는 데에서 붙인 이름이다.

   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0.1km 지점으로 농업과 상업을 복합으로 하며 가구 수는 103가구, 세대수는 109세대, 인구는 333(남자-152, 여자-181), 경지면적은 48.0ha(-2.3, -45.7)이다.(20021230일 기준)

 

   피향정(披香亭, 寶物 第289)887년 최치원(崔致遠)이 태산군수(泰山郡守) 재임 중에 풍월을 읊고 소요하던 곳이라 하여 그 이름이 알려져 왔다. 피향정의 창건 연대는 정확히 밝힐 수 없으나 흡향정(吸香亭)으로부터 유래된 것 같다. 다만 기록으로 전하는바에 의하면 광해군(光海君)때 현감 이지굉(李志宏)이 중건하고 현종(縣宗)때 현감 박숭고(朴崇古)가 초라한 건물을 확장 중건했으며 1715년 현간 유근(柳近)이 전라 감사와 호조(戶曹)에 교섭하여 정부의 보조로 재목을 변산(邊山)에서 베어다가 현재 규모의 건물을 세웠던 것이다.

   피향정은 상하(上下)에 연못이 있어 유명했으니 상연지(上蓮池)제와 하연지(下蓮池)제가 있었다. 태인현지에 의하면 상연지는 둘레가 1444척이고 깊이가 2척이며, 하연지는 둘레가 126척이고 깊이가 4척이라 하였다.

   호남제일정(湖南第一亭)이요, 해동명구(海東名區)로 극찬하는 까닭은 이곳이 동방 유학의 비조인 최치원의 소요지일 뿐 아니라 가경(佳境)을 이루는 연지의 자연경승이 있기 때문이다.

   피향정(披香亭, 寶物 第289)가 있다.

   신잠비(申潛碑, 全羅北道 文化財資料 第105)가 있다.

   함벽루(涵碧樓)가 있다.

   태인 이로비(泰仁 移路碑)가 있다.

 

   (2) 기지내(基地內) 마을

 

   기지내마을은 태산마을 서북쪽에 있으며, 속칭 터지내라고도 하고, 마을 앞에 있던 못이 홍수 때 모래가 밀려 쌓여 메워졌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호남고속도로 태인인터체인지가 이곳에 있고, 서해안 고속도로와 호남 고속도로의 연결하는 지점으로 교통의 요지로 정읍의 관문(關門)이다. 태인 골프장이 여기에 있다.

   면 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1.0km 지점으로 순농사로 하며 가구수는 34가구, 세대수는 35세대, 인구는 93(남자-44, 여자-49), 경지면적은 31.0.8ha(-7.9, -23.1)이다.(20021230일 기준)

 

   (3) 샘들마을

 

   (4) 시기(市基) 마을

 

   시기마을은 면 소재지에서 있으며 순 농사와 상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199010월에 태산마을에서 분동(分洞)되었으며, 연꽃방죽과 도로(道路)로해서 국도(國道)1호선가(1號線街)로 구성된 마을이며, 태인의 교통 요충지이다.

   19193월의 기미독립만세운동이 벌어진 역사의 현장이고, 태인시장(市場)이 번성한 곳이기도 하다.

   「도래미산(道伊山)이 여기에 있으며 그 산에는 전설이 있고, 1959년에 개교한 태인여자중학교는 200732일에 태인중학교로 편입되었다가, 201031일에 대안학교인 전북동화중학교가 새로이 개교하였다.

   박잉걸(朴仍傑)이 만든 대각교(大脚橋)는 큰 다리라는 뜻을 지니고, 숙종(肅宗)과 최숙빈(崔肅嬪)의 이야기를 담은채로 이 마을에 있다.

   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0.1km 지점으로 농업과 상업을 복합으로 하며 가구 수는 90가구, 세대수는 92세대, 인구는 291(남자-132, 여자-159), 경지면적은 26.8ha(-1.4, -25.4)이다.(20021230일 기준)

 

   (5) 용신(龍新) 마을

 

   용신마을은 태산마을 서남쪽에 있으며, 새터또는 신기(新基)라고도 하고, 용정(龍井)옆에 새로 생긴 마을로 두 뜸으로 이루어 졌으며, 용정에는 전에 앞의 마을에서 용이 올라갔다 하는 ()방죽이 있었다고 하는데 알 수 없다.

   이곳은 옛날 전주감영(全州監營, 道廳)을 거쳐 남도(南道)로 내려가는 호남의 대로(大路)로 대각교(大脚橋)와 옛날 교통기관이었던 태거원(泰居院)이 있었던 곳이다.

   1979년 모래 채취 작업 중 발견된 대각교 유지(遺址)는 이 마을로부터 동쪽 100m미만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니 이곳이야 말로 교통(交通)의 요지(要地)였음은 말할 것도 없다.

   현재 유적으로 남아있는 대각교는 영조(英祖)때 모은 박잉걸(慕隱 朴仍傑)이 많은 사재를 들여 가설한 다리로 대각교란 큰다리란 뜻이다.

   면 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1.0km 지점으로 순농사로 하며 가구수는 34가구, 세대수는 34세대, 인구는 76(남자-35, 여자-41), 경지면적은 18.1ha(-0, -18.1)이다.(20021230일 기준)

 

   (6) 육리(六里) 마을

  

   육리마을은 면 소재지에 있고, 태산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전에 마을의 차례가 여섯 번째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625사변 후 행정구역 폐합으로 태창리 육리마을로 이름이 바꾸어 졌고, 맹무덤산()은 마을의 동남쪽에 있다.

   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0.1km 지점으로 농업과 상업을 복합으로 하며 가구수는 62가구, 세대수는 65세대, 인구는 210(남자-96, 여자-114), 경지면적은 33.2ha(-4.7, -28.5)이다.(20021230일 기준)

 

------------------------------------------------

1) 張奉善, 井邑郡誌(정읍문화원, 1936. 11. 20.), 138.

2) 최현식편, 增補 井邑郡誌(정읍문화원, 1974. 3.),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