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지리(삶의터전) 23

제 1절 태인의 위치(位置)

제 1절 태인의 위치(位置) 위치는 인류가 생활하고 있는 구체적 장소로서 지표상의 한 지역이 다른 지역에 대해 상대적인 관계로 나타나는 공간개념으로 그 지역의 기후, 산업 활동, 생활양식, 역사 등을 결정짓는 기본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인접지역과의 위치 여하에 따라 그 지역이 갖는 의미와 기능 및 가치가 달라진다. 1. 수리적(數理的) 위치 수리적 위치는 경위도상의 위치를 말한다. 이는 지구 표면상의 일정 지점을 위도와 경도로 표시한 위치로서, 변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불변의 위치 또는 절대적 위치라고도 한다. 수리적 위치는 기후, 식생, 계절, 시간대 등을 결정한다. 태인은 경위도상으로 보면 35° 65′ 13.29″ N 사이와 126° 94′ 30.04″ E사이의 중위도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

제2절 태인의 면적

제 2절 태인의 면적(面積)1) 태인의 면적은 34.29㎢로 전북의 약 0.43%, 정읍시의 4.9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읍시 23개 읍면동별 면적에서는 11번째이다. 태인면 2,478방리(方里)2) 남한면적 - 99,729㎢, 전북면적 - 8,067.14㎢, 정읍면적 – 692.78㎢, 태인면적 – 34.29㎢ 행정구역 3) (2014. 03. 31.기준) 면 적 법 정 리 행정 마을 반수 비 고 34.29㎢ 14개 리 47개 마을 97반 인구 및 가구4) (2014. 09. 30. 기준) 인 구 수(명) 구 성 비 성 비 세대수 세대당인구(명) 구분 계 남 여 지역 남자 여자 정읍시 117,524 58,070 59,454 100.00 49.41 50.59 97.67 51,898 2.26 태인면 4..

제 3절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와 태인

제 3절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와 태인 삼국통일 후 왕권의 전제화(專制化) 과정(過程)에서 정치조직의 정비도 이루어져 신문왕 때 공장부(工匠府)와 예작부(例作府)를 설치함으로써 6전 조직(六典組織)이 완비되었고, 중앙관청 중 최고 관청은 집사부(執事部)로 왕명으로 실제 정무, 특히 국가 기밀 업무를 총괄했으며, 그 장관이 시중(侍中)이었다. 통일 후의 신라는 왕권이 전제화되는 시기이므로 집사부와 시중의 위상이 높았다. 전제화 과정에서 주목되는 것은 유교정치 이념을 도입해 국학(國學)을 설립한 점이다. 귀족세력을 억압하고 강력한 왕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학에 대한 지식이 뛰어난 6두품 (六頭品) 집단이 국왕과 손을 잡고 귀족을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 지방행정조직과 군사조직은 통일신라의 기본적인 골경이 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