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편 구비전승(삶의 이야기)/설화(說話)

효자와 효부

증보 태인지 2018. 3. 29. 09:31

효자와 효부

 

 

[태인면 설화 73]

 

, 아까 말짱으로 내우간에 참 빈번허게 사는디, 부모가 노모가 계서갖고 이러는디, 아들 하나가 있는디 저그들은 죽겄다고 반찬을 히서 상에다가 드리먼은 아, 그 손자 주느라고 부모가 잡수덜 못 헌단 말여.

그른게 그 손지놈은 준게 근게 좋아서 이놈이 죄다 먹어 번진게 아 부모는 실컷 내줘 분다는 것이 자기 자석만 묵어 분다 그 말이여.

, 근게 두 내우간에 공론을 허고는 우리가 이 자식을 그리야 우리 부모게다 효성을 허는 버람이 있지, 아 그런 자식놈이 죄다 먹어 분진게 부모게다 뭐 히드맀어야 허것 아닌가?

그리서 그 애기를 업고 갔다 묻을라고 갔다 그 말이여.

그 죽든 않고 산채로 갔다가 산에 가서 파고 이놈을 묻어서 거그다가 뉘어 논게, 요놈이 뭣이냐먼 등대가,

아이고, 나 등짝 괴야 못젼뎌, 못젼뎌!”

이런다 그 말이여.

아 이런게 '하 이 나 잘못파서 헌가'고 애기를 들어 내고 보닌게, 금떵어리가 올라오드래.

아 그리서 애기는 애기대로 살리고, 그 금떵어리를 갖다가 도로 팔아서 부모게다가 회성(효성)을 허닌게 얼마나 그 감사헌지 알거나 그 말이여.

그렸다고 그런 얘기도 좀 있읍니다.

- -

제보자-허창국채록지-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채록일-1985-04-18제작자-한국학중앙연구원출 처-한국구비문학대계

'제9편 구비전승(삶의 이야기) > 설화(說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림학사가 된 두 친구  (0) 2018.03.29
한음의 기지와 괴력  (0) 2018.03.29
할머니 산신  (0) 2018.03.29
효부 이야기  (0) 2018.03.29
흥덕 원님의 객담  (0) 2018.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