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76

제 4절 고려시대(高麗時代)와 태인

제 4절 고려시대(高麗時代)와 태인 고려시대의 중앙관제는 후삼국 통일 후 태봉(泰封)과 신라의 관제를 병용하였는데, 당(唐)·송(宋)나라와 고려의 독자적인 제도도 섞여 있었다. 이러한 관제는 6대 성종 때에 정비되기 시작하여 문종(文宗)에 이르러 일단 완성되었다. 체제의 특징을 보면 2성(省) 6부(部)는 당제(唐制)에 가깝고, 중추원(中樞院)과 삼사(三司)는 송제(宋制)를 채용한 것이며, 도병마사(都兵馬使)와 식목도감(式目都監)은 고려 자체의 필요성에서 생긴 것이다. 또한 고려의 정치체제가 귀족중심이었다. 고려시대의 지방관제에서 기구 개편의 연혁을 보면 983년(성종 2) 12목(牧), 995년에 10도(道)·3경(京)·5도호부(都護府)·8목(牧)·양계(兩界)가 설치되고, 1018년(현종 9) 전국을 ..

제 2절 백제시대(百濟時代)와 태인

제 2절 백제시대(百濟時代)와 태인 백제는 4세기의 중엽 13대 근초고왕(近肖古王, 346~375) 때 크게 발전을 보았다. 이어 백제의 영토를 확장하였는데 어떤 지방조직을 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백제의 지방통치에 대해서는 웅진(현재 충남 공주)으로 도읍을 옮기고 난 후의 내용을 중국의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수도를 고마성(固麻城, 웅진)1) 이라 하고 읍을 담로라 하였는데 마치 중국의 군현과 같은 것으로서 전국에 22담로(擔魯)가 있었고 여기에 왕가의 자제와 종족을 보내어 다스리게 하였다. 26대 성왕 때 정비된 것으로 보이는 지방통치 제도를 보면 왕도인 사비성(현 충남 부여) 내에는 오부(五部)로 구획하여 상부 전부 중부 하부 후부라 하였으며, 다시 각부에 오항(五巷)으로 구분하였다. 상부는..

제 1절 마한시대(馬韓時代)와 태인

제 2장 태인(泰仁)의 행정구역(行政區域) 변천(變遷) 제 1절 마한시대(馬韓時代)와 태인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에서 초기 철기 시절인 기원전 2~3세기경 위만(衛滿)이 고조선의 지배권을 장악할 무렵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진국(辰國)이 있었는데, 이들은 중국의 군현세력에 저항하면서 점차 부족연맹 세력을 형성하여 갔다. 그 결과 삼한(三韓)이라고 통칭하는 연맹왕국인 마한(馬韓)·진한(辰韓)·변한(弁韓) 등 세 그룹의 부족 사회가 생겨, 기원후 3세기경에는 대방군에 공격을 가하기도 하고 직접 진(晉)과 교섭하기도 했다. 이후 마한의 백제국(伯濟國)이 백제(百濟)로, 변한의 구야국(狗邪國)이 가야(伽倻)로, 진한의 사로국(斯盧國)이 신라(新羅)가 되었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삼한으로 통칭되는 78개의 ‘국’(國..

제 1절 태인의 위치(位置)

제 1절 태인의 위치(位置) 위치는 인류가 생활하고 있는 구체적 장소로서 지표상의 한 지역이 다른 지역에 대해 상대적인 관계로 나타나는 공간개념으로 그 지역의 기후, 산업 활동, 생활양식, 역사 등을 결정짓는 기본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인접지역과의 위치 여하에 따라 그 지역이 갖는 의미와 기능 및 가치가 달라진다. 1. 수리적(數理的) 위치 수리적 위치는 경위도상의 위치를 말한다. 이는 지구 표면상의 일정 지점을 위도와 경도로 표시한 위치로서, 변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불변의 위치 또는 절대적 위치라고도 한다. 수리적 위치는 기후, 식생, 계절, 시간대 등을 결정한다. 태인은 경위도상으로 보면 35° 65′ 13.29″ N 사이와 126° 94′ 30.04″ E사이의 중위도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

제2절 태인의 면적

제 2절 태인의 면적(面積)1) 태인의 면적은 34.29㎢로 전북의 약 0.43%, 정읍시의 4.9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읍시 23개 읍면동별 면적에서는 11번째이다. 태인면 2,478방리(方里)2) 남한면적 - 99,729㎢, 전북면적 - 8,067.14㎢, 정읍면적 – 692.78㎢, 태인면적 – 34.29㎢ 행정구역 3) (2014. 03. 31.기준) 면 적 법 정 리 행정 마을 반수 비 고 34.29㎢ 14개 리 47개 마을 97반 인구 및 가구4) (2014. 09. 30. 기준) 인 구 수(명) 구 성 비 성 비 세대수 세대당인구(명) 구분 계 남 여 지역 남자 여자 정읍시 117,524 58,070 59,454 100.00 49.41 50.59 97.67 51,898 2.26 태인면 4..

제 3절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와 태인

제 3절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와 태인 삼국통일 후 왕권의 전제화(專制化) 과정(過程)에서 정치조직의 정비도 이루어져 신문왕 때 공장부(工匠府)와 예작부(例作府)를 설치함으로써 6전 조직(六典組織)이 완비되었고, 중앙관청 중 최고 관청은 집사부(執事部)로 왕명으로 실제 정무, 특히 국가 기밀 업무를 총괄했으며, 그 장관이 시중(侍中)이었다. 통일 후의 신라는 왕권이 전제화되는 시기이므로 집사부와 시중의 위상이 높았다. 전제화 과정에서 주목되는 것은 유교정치 이념을 도입해 국학(國學)을 설립한 점이다. 귀족세력을 억압하고 강력한 왕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학에 대한 지식이 뛰어난 6두품 (六頭品) 집단이 국왕과 손을 잡고 귀족을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 지방행정조직과 군사조직은 통일신라의 기본적인 골경이 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