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76

비지정 장승 - 태인 청석마을 돌장승

태인 청석(靑石)마을 돌장승 소재지: 정읍시 태인면 오봉리 청석마을 857 청석마을 입구에 남향을 바라보고 서 있는 돌장승은 눈이 부리부리하고 코와 입은 뭉툭하면서도 투박하게 표현하였는데, 정감이 있는 할아버지의 모습을 닮아 친근감이 넘친다. 동네 사람을은 '하나씨'라 부르고 있으며, 마을 남쪽에 할머니 당산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없다. 돌장승의 높이는 122cm, 몸체는 앞면 너비가 45cm, 측면이 36cm이며, 기단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머리가 상투처럼 돌출되어 있는 얼굴의 모습은 빈대 코에 입을 다물고 있으며 귀는 없고 수염이 왼쪽으로 비스듬히 생겨져 있다. 마을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도로 입구에 위치한 돌장승은 마을의 이정표 역할을 하며, 동시에 마을의 서쪽 산자락의 기운을 보강하는 이른바 ..

비지정 누정 문화재 - 함벽루

함벽루(涵碧樓) 태인면 태성리 일등(一等) 도로변(1等道路邊) 연방죽 가운데(蓮池中)에 있으니 1918년에 김우섭씨(金禹燮氏)의 발기(發起)로 지역유지(當地有志)들이 협력하여 건축한 것인데 목조2층으로 구조가 정교할 뿐 아니라 주위의 풍경(風景)이 뛰어나게 아름다워(絶佳) 봄의 앵화(櫻花, 앵두나무 꽃)와 여름의 녹음(綠陰)과 가을의 연꽃(蓮花)은 시인묵사(詩人墨士)의 산책에 적당하며 행인과객(行人過客)의 장루(杖屢)를 끄을게 된다 이러므로 음풍명월(吟風明月)의 성(聲)이 항시부절(恒時不絶)하며 현재는 당지인사(當地人士)들의 구락부(俱樂部) 또는 사정(射亭)으로 사용되고 있다.1) 춘추 시대 초 공왕(楚共王)의 장군인 양유기(養由基)가 100보 떨어진 거리에서 버들잎을 활로 쏘아 백발백중시켰다는 고사가 ..

비지정 누정 - 태인 노휴재

태인 노휴재(泰仁 老休齋) 소재지: 태인면 태인로 83 노휴재는 군내(郡內)에서 가장 역사가 길고 유일(唯一)한 전통 노휴재이다. 1857년(철종 8, 丁巳) 1월 창건할 때 최정한(崔正漢)·송기천(宋基天)·김치희(金致熙) 등이 주도하였다. 그 후 1905년 2월 송영진(宋瀅鎭) 외 5인에 의해 중건(重建)되었으며, 1933년 2월 중건할 때는 김재일(金在一)이 이끌었다. 노휴재의 중앙 정면에는 '노휴재(老休齋)'라는 현판(懸板)이 걸려있는데 창건 당시의 쇄예(碎藝)의 글씨로 141년 전의 명필(名筆)이다. 1978년 8월 사업을 개시하면서 회원 일동의 출연금(出捐金)으로 효행자(孝行者) 표창 및 장학금(奬學金) 수여 등을 연례행사로 시행하고 있다. 그동안 태인 인근의 유림(儒林) 가운데 교양과 덕망이 ..

정읍시 향토문화유산 - 일재 이항 선생 유허비

일재 이항 선생 유허비(一齋 二恒 先生 遺墟碑) 호남지방(湖南地方) 대성리학자(大性理學者) 일재(一齋) 이항(李恒) 1499(燕山君 5)~1576년(선조 9)1) 선생은 성주이씨(聖州李氏)로 자(字)는 항지(恒之), 호(號)는 일재(一齋) 또는 수일재(守一齋), 시호(詩號)는 문경(文敬)이다. 성주이씨는 고려 말 백년, 천년, 만년, 억년, 조년 5형제가 모두 과거에 급제한 명문거족으로 이항은 이조년의 7대손이다. 1499년(燕山君 5)에 서울 신혼동(晨昏洞)에서 의영고주부(義盈庫主簿)인 아버지 이자영(李自英)과 소경전참봉(昭敬殿參奉 최인우(崔仁遇)의 딸로 어머니 전주최씨(全州崔氏) 사이에 장남으로 출생했다. 영월 신씨(辛氏: 辛伯粹의 女)와 혼인하였다. 어려서 학문에 뜻을 두지 않고 친구들과 놀기를 즐..

전통사찰 - 다천사

다천사( 茶泉寺) 지정종별: 전통사찰 제98호 등록일: 1992년 8월 20일 소재지:정읍시 태인면 태흥1길 59 정읍시 태인면 소재지(井邑郡 泰仁面 所在地) 마을 도로에서 우측 농로(農路)로 약 300m 올라가면 항가산(恒迦山, 한가산(閑伽山) 중턱 노고수림(老古樹林)에 둘러싸인 다천사가 있다. 이 절은 이름 그대로 약수(藥水)가 유명한 사찰이다. 500년이 넘는 느티나무가 있는 다천사는 옛날 절이 있던 자리라고 하는데 벽산(碧山)스님이 1930년경 이 절을 창건(創建)했다. 그동안 15평의 대웅전과 요사(寮舍) 종각(鐘閣) 사천왕문(四天王門)이 있었는데 1990년에 양옥 42평의 요사채를 건립한데 이어 1991년에 대웅전을 목조기와집으로 24평을 지었으며 1992년에는 사천왕문을 다시 세웠다. 200..

문화재 자료 - 옥천사소장 범종

태인 옥천사 소장 범종(泰仁 玉泉寺 所藏 梵鐘) 문화재 지정: 문화재 자료 제187호(지 정 일: 2007년 01월 19일1) 시 대: 1728년 소 재 지: 정읍시 태인면 왕림길 94-27 이 범종은 1728년에 조성되었으며 조선종의 특징인 음통을 갖추고 있는 조선후기의 범종으로서 유곽과 보살상의 모습 등이 생동감 있는 양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꽃을 든 보살상의 모습은 조선후기 전라도지역의 대표적인 승려장인의 계열에 속하는 장인이 주종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종의 표면에 검은 칠이 되어 있고 명문과 문양 부분이 일부 마멸되기는 하였지만 초주년대(1623년)와 재주년대(1728년)및 처음 봉안한 장소(龍頭山 龍壽寺, 용두산 용수사) 등이 정확하게 밝혀져 있다. 옥천사(玉泉寺) 태인면(泰仁面) 성황..

문화재 자료 - 신잠 비

신잠 비(申潛 碑) 지정종별: 문화재 자료 제105호(1984년 04 01일) 시 대: 1545년(조선 중종 39년) 소 재 지: 정읍시 태인면 태산길 3 현감(縣監) 신잠(申潛)은 조선(朝鮮) 초기(初期)의 명신(名臣)이다. 본관은 고령인(高靈人)으로 자(字)는 원량(元亮)이고 호(號)는 영천자(靈川子) 또는 아차산인(峨嵯山人)이다. 봉례공 신주(申澍)의 손자이며 삼괴당(三魁堂) 종호(從濩)와 어머니 전주이씨(全州李氏)와의 사이에 4남 2녀 중 넷째 아들로 1491년인 성종(成宗) 22년(辛亥)에 태어났다. 슬하에 1남 1녀를 낳으시니 아들이 수용(秀溶)이요 사위가 판관을 지낸 청주인 한수(韓洙)이다. 조선중기의 문신이요 문인으로 1513년 23세 때에 진사시에서 장원을 하시었으며 1519년(中宗 14..

문화재 자료 - 태인 향교 대성전

태인향교(泰仁鄕校) 대성전(大成殿) 지정종별: 문화재자료 제75호(1984년 04월 01일) 시 대: 조선 세종기 소 재 지: 정읍시 태인면 향교2길 49-1 면 적: 대성전 만화루 외 5동 1386년(고려 우왕 12) 에 태산(泰山)·인의(仁義) 두 현(縣)에 향교를 건립하였으나 지금은 인의현(仁義縣)의 향교 터(遺址)만 신태인읍(新泰仁邑) 백산(栢山)의 서쪽 기슭(西麓)에 남아 있다고 전하고 있다.1) 현재 알려진 대로 태인향교의 창건 시기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제34권 태인현(泰仁縣) 궁실조(宮室條) 「객관」의 기록으로 볼 때, 1421년이라는 주장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궁실】 객관 정곤의 기에, “태인현은 곧 옛날의 태산과 인의 두 고을인데, 우리 조정에서 두 고을의..

민속문화재 - 태인 신잠선생 영상

태인 신잠선생 영상(泰仁 申濳先生 影像) 지정종별: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4호(1973년 6월 23일) 시 대: 조선시대 수 량: 일괄 4점 소 재 지: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 425 성황당(城隍堂) 및 단(壇)은 성황사 현의 서쪽 4리에 있다.1) 성황사(城隍祠)는 관아의 서쪽 4 리에 있다.2) 태인면(泰仁面) 태성리(泰成里) 성황산(城隍山)에 있었는데 지금은 없다. 이곳은 당우(堂宇)를 건설(建設)하였다. 거금(距今) 390여년전에 영천(靈川) 신잠(申潛)이 현감(縣監)으로 부임(赴任)하여 거산(居山)에 있는 읍(邑)을 이곳으로 이전(移轉)하고 치적(治績)이 대행(大行)하였음으로 읍인(邑人)이 그를 사모(思慕)하여 당우(堂宇)를 건설(建設)하고 선생(先生) 부처(夫妻)와 자녀(子女)의 초상(肖像)을 ..

기념물 - 서현사지

서현사지 (西峴祠址)1) 지정종별: 전라북도 기념물 제48호 지 정 일: 1981년 04월 01일 소 재 지: 정읍시 태인면 서재길 13 시 대: 1819년 창건, 1868년 철거 면 적: 548㎡ 사우․위비봉안도(祠宇․位卑奉安圖)2) 서현사는 1819년(순조 19)인 조선 후기에 창건되었는데, 임진왜란 때 순절한 참의(參議) 박문효(朴文孝: (1568∼1593))를 향사(享祀)하여 오다가 1868년(고종 5)에 정부의 서원철폐령(書院撤廢令)에 의하여 훼철(毁撤)되었 으며, 열녀 진천송씨 정려(烈女 鎭川 宋氏 旌閭)와 1914년에 세워진 ‘贈吏曺參議行宗廟署直長朴公西峴遺墟碑(증이조참의행종묘서직장박공서현유허비)’가 서 있는 상태에서 1981년 4월 1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28호로 서현사지로 지정되었다. 서현..